전북 군산시와 서울을 잇는 항공노선 재개가 어려울 전망이다. 12일 군산시에 따르면 군산-서울 항공기 운항에 따른 적자 보전액수를 두고 전북도와 군산시를 비롯한 도내 자치단체와 항공사인 ㈜대한항공 사이에 의견차를 보여 항공노선 재개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전북도와 군산.전주.익산.김제 등 도내 자치단체는 작년과 올해초 항공사 측이적자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전해주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군산공항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이 조례는 군산-서울 항공노선의 연평균 탑승률이 70% 미만일 때 적자액의 30%는 항공사에서 부담하고 나머지 70%의 손실보전금은 전북도가 50%, 군산 20%, 전주15%, 익산 10%, 김제 5%를 분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내 자치단체는 기존에 운항하던 109인승 항공기를 기준으로 이같은 조례를 제정했다. 그러나 대한항공 측은 109인승은 매각 계획에 따라 군산-서울 간을 운항할 수없으므로 164인승 항공기를 기준으로 적자액을 보전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내 자치단체는 "109인승이나 164인승이나 항공기 운항에 따른 비용은 큰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군산-서울 항공노선에 164인승 항공기를 투입하되 적자보전액수는 109인승을 기준으로 정하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전북과 수도권을 잇는 항공편이 없어 지역경제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항공기 운항 재개에 따른 적자 보전액에 대해 항공사 측이 도내 자치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빠른 시일 내에 항공노선 재개가 이루어졌으면 한다"고말했다. 지난 92년 개설된 군산-서울 항공노선은 승객 수가 99년 11만5천여명, 2000년 10만1천여명, 2001년에는 6만5천여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대한항공은 이같은 승객 감소를 이유로 2001년 10월에 1일 2회를 1회 왕복운항으로 줄였다가 작년 5월에는 아예 노선을 폐지했다. (군산=연합뉴스) 전성옥 기자 sungok@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