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과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내달 3일 회담을 앞두고 양당 비서실장이 29일 공식회동을 갖고 본격 조율에 나섬에 따라 회담의제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양당 비서실장이 일단 17대 국회개원을 앞두고 상생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제도적인 틀로서 민생.경제를 화두로 한 `초당적 협의채널'을 가동한다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함으로써 대표회담에서는 구체적인 협의채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보인다. 이에 따라 여야 대표회담의 정례화와 16대 국회 하반기에 잠시 가동됐다가 중단됐던 여야정 정책협의회 부활문제 등이 주요의제가 될 전망이다. 이와관련, 우리당 김영춘(金榮春) 의장 비서실장은 "4.15 총선을 통해 확인된민심은 이제 싸우는 정치를 끝내고 경제회복과 민생안정에 주력해달라는 것이었다"면서 "양당 대표회담이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는 정치의 출발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진 영(陳 永) 대표 비서실장도 "양당 대표회담은 17대 국회를 경제회생을 위한 국회로 만들고 그동안 잘못됐던 국회운영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전기를 만드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양당 비서실장은 또 정치개혁과 국회개혁, 민생경제 회복을 핵심의제로 설정하고 내달 1일 오전 각당 실무진이 참여하는 제2차 회담을 통해 구체적인 의제를 확정키로 했다. 정치개혁과 관련, 양당 대표회담에서는 총선을 전후해 양당이 모두 정치개혁을위해 제안했던 국민소환제 도입과 의원의 면책특권 및 불체포특권 제한 문제 등이도마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함께 한나라당이 최근 북한 룡천역 열차참사를 계기로 대북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보임에 따라 정 의장은 남북국회회담 추진과 올해 예산안 편성과정에서 한나라당의 주장으로 삭감됐던 1천300억원의 남북협력기금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확충하는 방안 등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장은 특히 돈정치 청산을 위해 불법자금 국고환수 특별법 제정을 제안한다는 입장이어서 회담결과가 주목된다. 민생.경제문제와 관련, 박 대표는 16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민생법안과 양당이 총선기간에 제시한 공약 가운데 공통분모에 대해서는 17대 국회에서 여야 공동입법 방식으로 조속히 처리하자는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표회담에서는 민생법안 처리를 위한 실무협의체 구성문제도 심도있게 논의될 것으로전망된다. 그러나 회담의 성격상 세부법안까지 다루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양당대표는 대강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실무적인 논의는 향후 정책위의장 내지 원내총무 회담에 넘길 가능성이 높다. 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문제나 각당 내부에서 조심스럽게 거론되는 대통령 4년 중임제 개헌 문제 등은 정치적 민감성을 고려할 때 거론되지 않을 가능성이높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기자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