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가 포항공대에 설립된 국제연구소인 아.태이론물리센터(APCTP)의 소장 겸 포항공대 석학교수로 선임됐다. 아.태 이론물리센터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러플린 스탠퍼드대 교수(54)를 임기 3년의 소장 및 포항공대 석학교수로 임명했다고 과학기술부가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러플린 교수는 아.태 이론물리센터의 소장 겸 포항공대 석학교수 자격으로 임기 3년동안 국내에 연간 한달 이상 체류하면서 아.태 이론물리센터와 포항공대 발전은 물론 우리나라 기초과학 수준향상과 과학마인드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러플린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은 규모나 역량면에서 과학대중화를 펼쳐나가는데 가장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면서 "이 센터를 통해 한국정부가 펼치고 있는 사이언스코리아등 과학대중화 사업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나아가 아태권역의 최대 규모 물리학자 네트워크를 구축,아태과학자들의 잠재가치를 활용하는데 노력하겠다"며 "특히 인터넷을 통한 출판등 과학 저술컨텐츠 사업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러플린 교수는 32세에 이른바 "분수 양자 홀 효과"를 처음으로 이론적으로 설명한 공로로 1998년에 추이,스트뢰머 교수와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부산아시안게임때 노벨 수상자 초청 학술대회에 참가하는 등 지금까지 우리나라를 7번이나 방문한 지한파로 노벨상 수상 이전부터 아.태 이론물리센터,포항공대,고등과학원 등과 인연을 맺고 과학영재 육성과 범국민 기초과학 마인드 확산에 큰 도움을 줘왔다. 아.태 이론물리센터는 소장인 러플린 교수를 포함해 이사,과학위원으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5명을 보유하고 있다. 8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대만의 유안 리는 이 센터의 이사이며 미국의 레온레더만(88년 수상),덴마크의 벤 모텔슨(75년 수상),일본의 고시바 마사토시(2002년 수상)등이 과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태 이론물리센터는 한국을 비롯 중국,일본,대만,싱가포르,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호주 등 아.태지역 10개국이 이탈리아의 국제이론물리센터(ICTP)를 모델로 지난 97년 고등과학원에 설립했다가 지난 2001년 포항공대로 이전했다. 오춘호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