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김창국) 예비노조가 출범한다. 인권위 예비노조는 26일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 91명 중 83명의 찬성으로 예비노조 초대위원장으로 노정환(공보담당관실)씨를 선출, 내달 1일부터 집행부를 꾸려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총원 180명 중 5급 이하 148명 전원을 회원으로 `인권위 노조 준비회의'를 구성, 노조를 준비해온 인권위 직원들은 3월 148명 중 92명이 자발적으로예비노조원으로 가입했다. 노정환 위원장은 "현재 인권위 직원들은 계약직과 별정직, 일반직, 기능직으로4등분 돼있고, 민간단체 출신과 부처 출신 직원이 섞여있어 서로 뭉치고 속내를 털어놓기 보다는 조심하며 관망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일단 직원들끼리 의사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만들고 위원장과 사무총장, 국.과장과의 대화의 자리를 마련, 위원회와 직원간, 직원과 직원간 소통이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노 위원장은 예비노조의 역할에 대해 "정식 노조로의 출범을 대비해 노조활동에필요한 공간과 준비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언제라도 노조 전환이 가능하도록 `기반다지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비노조의 가입대상은 5급 이하 직원 전원"이라며 "5∼7급 직원들이 같은 조사관으로 서로 같은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예전 공직 행정체계에 따라 5급 직원들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현행 법에서는 공무원 노조를 허용하지 않아 `예비노조'란 `우회로'를 선택한인권위 노조의 정식 출범은 공무원노조법의 입법이 완료된 뒤로 예상된다. 예비노조는 향후 노조원들의 총의를 모아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전국목민(牧民)노동조합총연맹(전목련) 등 공무원노조단체와 사안에 따라 적극적 연대를 펼쳐나갈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이율 기자 yulsi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