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총선 이후로 미뤄온 정부와 공기업 등 공공부문의 조직ㆍ인사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정비한다는 방침을 확정, 이를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다.


정부는 특히 부처간 업무장벽 등 해묵은 관료사회의 '할거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방형 직위를 늘리고, 각 부처 내에 인사-예산 등에서 독자적인 권한이 주어지는 특별행정조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8일 "탄핵문제가 해결되는 대로 노무현 정부 들어 1년간 준비해온 행정조직 개편 등 정부 혁신작업을 구체화할 방침"이라며 "금융감독기구 개편,통상교섭본부 위상 재정립 등과 함께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가 얽혀있는 산업정책 관련 부처의 재편도 본격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준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은 이와 관련, "정부 혁신이 상시적으로 이뤄지는 일이긴 하지만 총선이 끝난 만큼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대통령 탄핵문제가 마무리되면 가장 시급한 현안인 과기부 개편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 이미 공기업과 산하기관장에 대한 평가작업을 완료하고 교체 대상 기관장까지 선별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점을 감안해 탄핵문제가 해결되면 일괄적으로 인사를 실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한편 청와대는 부처 자율적으로 개방형 직위를 확대하고 독립채산제 성격을 가진 정부 부처의 실ㆍ국을 선정, 운영하는 특별행정조직을 만드는 방안 등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원순ㆍ김용준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