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전 위기로 치달았던 한나라당과 방송3사간의관계가 일단 진정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방송3사가 19일 오후 한나라당 경선주자 합동토론회에 대한 생중계 불가방침을전격 철회하고 내주초 일제히 토론회 중계에 나서기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방송3사의 입장변화는 한나라당이 토론회 중계불가 방침에 반발, 장외집회를 실시키로 하는 등 파문이 더욱 확산될 조짐을 보이는 등 자칫 방송사의 `중립성' 논란이 선거쟁점으로 비화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나라당도 방송사의 결정을 수용키로 했다. 전대일정이 불과 4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방송사와의 갈등보다는 토론회 개최라는 `실리'를 선택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21일 낮 여의도 한강둔치에서 열기로 했던 장외 시국강연회와 20일 부산 및 대구에서 연이어 개최키로 했던 경선주자 합동토론회를 전격 취소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내부에서는 이번 방송사들의 `태도'에 대해 "총선을 앞둔 상황에서 방송의 편파적 행태가 드러났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적지 않아 방송사와의 갈등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심재철(沈在哲) 의원은 "TV토론 과정에서는 탄핵의 정당성 등을 한목소리로 알리고, 그동안 방송의 편파적 모습들을 낱낱이 밝혀서 국민에게 소상히 알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우리가 느린 당이 아니라 빠른 당이란 것을 보여주기위해 부당하게 권리를 빼앗긴 것에 대해 방송사에 항의했던 것"이라며 "앞으로도 한나라당은 빠른 당의 모습으로 모든 매체의 중심에서 국민의 뜻을 즉각 듣고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까지도 방송사측이 TV토론 생중계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표명을 하지 않자 이를 중계거부로 규정,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 전여옥대변인 등이 기자회견을 갖고 "방송사의 결정인지 어떤 정치적 협력자가 따로 있는것인지 알 수 없는 일"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방송사에 대한 항의 표시로 21일 오후 5명의 경선후보가 참석한 가운데 여의도에서 시국강연회를 갖는 한편 방송사에 대한 취재거부를 검토키로하는 등 강력 반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기자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