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주력해 조기 경영정상화를 실현하겠습니다" LG카드 경영정상화를 위한 구원 투수로 나선 박해춘(朴海春) 사장의 취임 일성이다. 박 사장은 16일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LG카드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시장의 신뢰회복이 급선무"라며 "서울보증보험 재임시 터득한 위기대응전략을 적용해 빠른 시일내 경영정상화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LG카드는 영업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고 수익성을 바탕으로 한 우량회원 확보에 나서는 등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키로 했다. 박 사장은 "금융 회사는 일반 제조업과 달리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지만 회복에는 수 년이 걸린다"며 "신속한 위기대응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채권회수 문제와 관련해 그는 2개 이상의 카드사에 빚을 지고 있는 다중(多重)연체자를 공동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카드사들끼리 협약을 맺어 부실한 회원 관리로 신용불량자를 많이 양산한 카드사에게 피해 비용을 부담케하는 방식이다. 박 사장은 "신용불량자 양산을 막기 위해서는 카드사들의 공동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며 "대형 카드사들과 회의를 거쳐 빠른 시일내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서울보증보험의 채권회수 우수 인력을 영입하는 등 채권회수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고객 DB(데이타베이스)가 풍부한 금융기관들과 공동으로 개인 신용정보회사 `CB(Credit Bureau)'를 설립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박 사장은 유동성 문제에 대해 "산업은행이 뒤에 있기 때문에 다른 전업카드사보다 안전하다"며 "시장에서 신뢰만 회복하면 단시일내 회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구조조정 규모에 대해서는 "조직을 전략화해 위기를 타개해야 한다"며 "과장급이하 직원에 대해서는 당분간 구조조정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회원관리도 대폭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엄격한 심사를 통해 카드를 발급하는 것은 물론 기존 회원에게는 신용정도에 따라 서비스를 차별화할 계획이다. 1천만명에 이르는 회원 수 등 LG카드의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면 시장 주도력을 되찾아올 수 있다는 계산이다. 박 사장은 "이러한 강점을 잘 이용한다면 성장 잠재력과 위기 극복력이 충분히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LG카드 노동조합(위원장 황원섭)은 박 사장 취임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노사신뢰를 바탕으로 좌초위기에 놓인 LG카드호를 정상궤도에 올려 놓고 소중한 일터를 지키고자 하는 직원들의 희망을 지켜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yunzhe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