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방위청은 해외에 파견돼 국제공헌 활동을하고 대(對)테러 및 미사일방어 등을 담당할 방위청 장관 직할부대를 빠르면 2006년에 창설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일 보도했다. 방위청은 이와 함께 현재 부수적 임무로 돼 있는 국제공헌 활동을 국토방위와같은 수준의 자위대의 `주임무'로 격상시키는 방향으로 자위대법을 개정할 방침이다. 방위청 장관 직할의 전문부대는 국제공헌부대, 대테러부대, 미사일방어부대 등3개부대를 합해 5천명 정도로 구성될 예정이며 각 부대 모두 육상자위대 중심으로편성된다. 특히 대 테러부대는 3월중 나라시노(習志野)기지에 설치할 대 테러 특수부대와오미야(大宮)기지의 화학방호부대를 통합해 종합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등에 자위대를 해외에 파견할 때 북부,동북부,동부,중부,서부 등 5개 방면대가 돌아가면서 순번제로 맡아왔다. 방위청은 올해중에 전면 개정할 예정인 `방위계획대강'에 2005년 통합막료장직 신설과 함께 이런 내용을 명시키로 했다. 방위계획대강은 일본 방위력 전반과 정비, 운용에 관한 구체적 목표를 제시하는지침으로 1976년 미키(三木)내각때 처음 제정됐다. 이후 냉전종식 등 국제환경변화를 반영해 1995년에 개정됐으며 작년에 새로운대강을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이라크 재건지원 등으로 미뤄져 올해 전면 개정될 예정이다. 일본의 방위정책은 방위계획대강에서 큰 원칙이 정해지면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부대편성과 장비구입계획 등을 명시한 중기방위력정비계획을 5년마다 작성해 실행에옮기게 된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