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전보장을주제로 하는 새로운 지역안보기구 창설을 검토중이라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25일중국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베이징(北京)발로 보도했다. 이 구상이 실현되면 아시아 지역에서 처음으로 중국이 주도하는 안보협의기구가탄생하게 된다. `동북아시아 안보협상회의'로 불리는 이 구상은 북한의 미사일은 물론 주한미군과 주일미군 문제, 일본의 `군사대국화', 영토분쟁 등 역내 각국의 관심사를 협의하는 기구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니치는 중국의 이런 구상은 북한 핵문제를 둘러싼 6자회담을 승계해 대량파괴무기 확산 등 안보문제를 폭넓게 논의할 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전했다. 중국은 아세안.지역포럼(ARF)에 참여하고 있지만 대만(臺灣) 문제가 국제화되는것을 꺼려 지금까지 미국을 포함한 다국간 안보협의에는 소극적인 입장이었다. 새 지역안보기구 창설 구상이 실현될지 여부는 미국과 북한이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가 열쇠가 될 것으로 마이니치는 예상했다. 다른 참가국은 한국, 일본, 러시사 등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2차 6자회담에서 핵폐기 절차를 논의하기 위한 실무기구 설치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만 6자회담에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합의가 이뤄지더라도탄도미사일과 생물.화학무기 등이 계속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내에는 6자회담 주최국으로서 핵문제해결뿐만 아니라 지역안보의장래도 참가국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중국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정치연구소의 선지루(沈驥如) 국제전략연구실주임은 `동북아안전협상회의' 구상에 대한 마이니치신문의 취재에 "관계되는 연구자들이 이미 내용을 검토중"이라고 확인했으나 "정부계열 연구기관이 검토에 착수한단계로 아직 정부의 정책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