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정국을 맞아 워싱턴 정가는 2월 들어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의 병역의혹을 둘러싼 '병풍(兵風)' 공방이 한창이다. 병풍공방에서 공세를 취하고 있는 측은 민주당 대선 유력주자로 '베트남전 영웅'으로 불리는 존 케리 상원의원. 수세에 몰린 측은 부시 대통령. 부시 대통령은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자신의 군복무기록을 공개하는 등 병풍 차단에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부시 대통령이 지난 1972년 앨라배마 주 방위군 배속후군무를 이탈했다는 야당측 공세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민주당 진영이 미국내 막강한 영향력과 조직력을 과시하고 있는 미 전국 재향군인회 및 군 관련 보수단체들을 겨냥하며 부시 대통령의 병역의혹에 계속 군불을 지피고 있기 때문. 사태가 여의치 않자 공화당측은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선거전략에 따라 그동안의 수세적 입장에서 케리 의원의 과거 반전운동 경력을 집중 제기하는 공세적입장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부시 대통령측은 케리 의원이 월남전에 참전해 무공훈장을 받은 것은 인정하지만 그는 참전후 반전 행동주의자로 태도를 돌변, 월남전 참상을 과장 왜곡하는가 하면 다른 동료 참전용사들을 모독하는 발언으로 군의 명예를 실추시켰다고 맞공세를폈다. 공화당측은 케리 의원이 해군대위로 전역한 뒤 지난 1971년 미 상원 외교위 청문회에서 월남전 참상을 증언하며 반전운동을 주창한 발언록은 과장된 것이라면서 "이는 침묵하고 있는 명예로운 다수의 월남전 참전용사와 재향군인들을 모욕한 것"이라고 비난. 케리 의원이 전쟁에서 무공훈장을 받아 영웅으로 칭송을 받은 뒤 다시 군문을벗어나서는 반전주의자로 변신해 자신의 공명심을 높이기 위해 월남전을 이용했다는주장이다. 케리 의원은 자신의 공명심을 위해 입증되지도 않은 월남전 참상을 과장했다는 얘기다. 이에 케리 의원은 자신은 결코 재향군인이나 월남전 참전용사 또는 침묵하는 다수의 군인들을 모독한 적이 없다면서 당시 자신이 비판했던 것은 미 정부의 지도자들이었다고 되받았다. 케리 의원측은 "케리 의원과 부시 대통령의 병역을 대비해보면 누가 나라에 충성했고 군복무에 자긍심을 느끼는지 곧바로 알 수 있다"며 "케리 의원은 전쟁에 나가 피를 흘렸고 다시 전쟁이 끝난 뒤에는 수천명의 참전 재향군인의 입장을 대변,나라에 두번 봉사한 사람"이라고 옹호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