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의 퇴직금을 없애고 급여를 연봉으로 일원화하는 일본 기업이 늘고 있다. 일본 산업계의 이런 움직임은 종업원에 대해서는 성과주의 적용을 확대하면서임원에 대해서는 재직기간에 따라 퇴직금이 자동적으로 늘어나는 연공급을 적용하는것은 형평에 어긋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세계 유수의 광학기기 메이커인 호야는 "회사의 경영성적이나 주주이익과의 연관성이 적다"는 판단에 따라 작년부터임원의 퇴직금을 폐지했다. 호야는 앞으로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되는 보수위원회에서 업무에 따라 각 임원의보수를 결정키로 했다. 오릭스도 "매년 성과를 검증받아야 하는 임원에게 사후에 지급하는 보수의 성격이 강한 퇴직금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퇴직금을 폐지했다. 다이킨공업은 퇴직금을 폐지하면서 12년만에 임원 월급 상한액을 상향 조정했다. 이 회사의 임원은 모두 20명으로 20명의 월급 합계가 5천만엔을 넘지 못하도록했던 것을 6천만엔 이내로 확대했다. 업무성과에 연동시킴으로써 임원의 급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도 적지않다. 6기연속 연결적자를 낸 선웹공업의 경우 업무성과에 따라 임원의 급여액을 결정할 예정이나 "경영실적이 좋던 시절에 비해 임원의 급여총액이 줄어들 전망"(총무.인사부 관계자)이다. 닛신(日新)제강은 모기업과 계열사간 연결경상이익과 순이익, 주주자본이익률(ROE) 등과 연계한 보수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작년에 임원 퇴직금제도를 없앤 도쿄(東京)증시 상장기업은 15개사 정도로 추산되며 생활용품 메이커인 가오(花王)와 노무라(野村)홀딩스 등은 작년 이전에 임원 퇴직금을 폐지했다. (도쿄=연합뉴스) 이해영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