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겐 뢰플러 < 하나알리안츠투신운용 사장 > 최근 들어 한국 금융부문에 외국인 비중이 너무 높다는 우려를 쉽게 듣는다. 물론 은행의 외국인 소유비중이 한국보다 낮은 나라도 있지만, 영국과 같이 경제 규모가 크고 성숙한 나라 중에 외국인 비중이 한국보다 훨씬 높은 나라도 있다. 이론적으로 회사 소유권의 국적논란은 적절하지 못하다. 자본이 제대로 쓰이기만 한다면 외국자본은 국내자본만큼 유익하다. 현실적으로도 외국자본은 기득권과의 결탁 가능성이 적어 경제에 순기능을 할 수 있다. 결탁은 자본의 효율적 배분을 어렵게 하고, 때때로 경제성장을 억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외국인 자본은 특성상 국내의 사회 또는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외국인 투자자들은 금융산업의 결정적 성공요인인 리스크 평가 및 관리 방법 등 신기법들을 소개할 수 있다. 인간은 오래된 관행에 익숙해지면 타성에 젖어 내재돼 있는 리스크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기득권의 이익을 견제하는 것은 경제성장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미국의 경제학자인 맨커 올슨(Mancur Olson)은 2차 세계대전 직후 초기 10여년 간 독일과 일본이 눈에 띄는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전쟁의 패배가 오랫동안 굳게 단합했던 이익집단들의 해체를 가져왔으며, 이는 시장의 힘을 자유롭게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기관의 외국인 소유권이 논란거리가 되는 또 다른 이유는, 외국인 소유의 금융기관이 기업대출에 대해 엄격한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이 더 커진다면 한국 기업들은 기업활동을 뒷받침할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이는 낮은 성장률과 낮은 고용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이는 논리적으로 들리기는 하지만 문제의 실체를 흐리는 주장이다. 투명하고 건전한 기업이라면 자금조달 가능성을 충분히 찾을 수 있고,이익최대화를 추구하는 은행이라면 은행 소유가 국내인이든 외국인이든 투명 건전기업에 대출을 거절하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여러 외국계 은행들이 한국의 우량기업들과 많은 거래를 하고 있다.가장 큰 문제는 기업의 재정투명성과 건전성의 부재로 기업대출사업이 때때로 매우 높으면서도 예측하기 힘든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체 은행시스템이 이러한 리스크를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 대출만기가 대부분 1~3년이란 사실이 이를 증명해준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국내은행이더라도 10년 만기 기업대출을 감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단기대출은 연속적인 회전을 요구하며, 이는 기업자금뿐만 아니라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최근의 LG카드가 그 예이다. LG카드가 10년 만기 대출을 받거나 채권을 발행할 수만 있었어도, 스스로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을 것이다. 세계 각 나라가 공통적으로 우려하는 것이긴 하지만, 정부는 금융부문이 누구의 소유냐에 크게 연연해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히려 정부는 장기 기업대출과 채권시장의 기능을 원활하게끔 하는 회계 및 기업구조기준을 제정하고 이를 집행해야 한다. 이는 효율적인 파산 및 공매처분 과정과 그 과정을 제대로 집행할 수 있는 집행기관을 필요로 한다. 신뢰할 수 있고 객관적인 평가회사도 필요하다. 물론 기본적으로 기업들은 채권자와 투자자들에게 구체적이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정부와 기업은 이미 많은 진척을 보이고 있다. 이 노력이 계속된다면, 유동적이고 효율적인 장기 회사채 시장 설립의 기틀이 마련될 것이다. 장기 신용 및 채권 시장은 기업부문뿐만 아니라 보험회사와 연금기금에도 장기부채에 대한 매칭(matching)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매칭 없이는 연금 및 보험 부문도 체계적 위험에 맞닥뜨릴 수 있다. 투명성과 기업지배구조의 문제해결만이 장기적 해법이다. 채권자의 희생을 대가로 채무자에게 관용을 베풀어 문제 해결을 뒤로 미루거나 정부가 시장에 개입함으로써 문제를 가리려고 한다면, 이는 후일 더 큰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 Investors are not to blame for lack of long-term corporate financingRecently, we can hear the opinion that foreign ownership in the Korean financial sector was too high. Empirically, there are many countries with a much lower foreign bank ownership ratio than Korean, but there are others as well with a much higher one, including big and mature economies like the UK. Theoretically, the nationality of company ownership is irrelevant. Foreign capital is as good as domestic capital and vice versa, as long as it is efficiently deployed. However, moving from the arcane world of economic theory to the complexities of reality, one can argue that foreign capital can have a special beneficial effect for an economy. This is, because it is less likely to engage in collusion with vested interests, be they of political or economic nature. Such collusion often results in compromising an efficient allocation of capital and thereby in constraining the growth of an economy. The reason is obvious: foreign capital by nature is more independent from domestic social and political pressures. In addition, foreign investors can provide a valuable new perspective,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isks, which is a crucial success factor for financial companies. It is an all too human tendency that the more used we are to deeply engrained ways of doing business, the more we tend underestimate the inherent risks.Counterbalancing vested interest can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Mancur Olson, the US institutional economist, claimed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Germany's and Japan's outstanding economic development in the first few decades after world war II was that a result of being defeated in the war was the break up of long established and firm interest groups freeing up market forces and enabling high growth.Another argument brought forward against high foreign ownership of financial companies is that foreign owned financial institutions tend to be restrictive regarding corporate loans. If this tendency should grow, Korean companies will face difficulties in financing their activities, which in return will lead to lower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This sounds logical, but it does obscure the real problem. Transparent and sound companies will always find ample financing possibilities and no profit-maximizing bank - be it domestically or foreign owned - will refuse such loans. As a matter of fact, many global banks do a lot of business with high quality Korean companies. The real problem is that given a lack of transparency and sound finances, the corporate loan business often implies a high and hardly calculable risk The whole banking system seems to be aware of that,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most loans have maturities of only 1-3 years. Not even local banks dare to extend 10 years corporate loans in such an environment. Short-term loans require continuous revolving, which can easily result in a destabilization of company finances and even affect the financial system. The LG Card case is a recent evidence for that. Had the company be financed with 10 year loans and bonds, the company would have had enough time to work out its problems on its own. Even though many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do, they actually should not be too concerned about the nationality of ownership of the financial sector. They should rather, concentrate on establishing and enforcing accounting and corporate governance standards that allow a functioning long-term corporate credit and bond market. This requires effective bankruptcy and foreclosure procedures as well and courts that administer such procedures efficiently. Finally it requires reliable and objective rating agencies. And of course, it requires companies to offer much more in-depth and much more reliable information to creditors and investors. Both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n companies have already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that regard. If this positive trend should continue, this will lay the grou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liquid and efficient long term corporate bond market. Long-term credit and bond markets are not only essential for the corporate sector, they are essential as well for insurance companies and pension funds to match their long-term liabilities. Without such matching opportunities, the pensions and insurance sector can face systemic risks as well. Only addressing the remaining problems of intransparency and corporate governance can provide a lasting solution. Postponing problem solving through too much leniency on the lenders' site or frequent government intervention most likely l only results in much bigger cost l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