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센터 건립 찬반을 묻는 부안 주민투표에서반대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온 것은 지난해 7월부터 반년 넘게 반대운동을 벌여온 부안주민들의 민심이 표출된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실시된 주민투표에서는 전체 투표권자 5만2천108명 가운데 3만7천524명이투표(투표율 72.01%)했고 이 중 찬성은 5.71%(2천146명)에 그친 반면 반대는 91.83%(3만4천472명)에 달했다. 투표에 나선 부안 주민 10명 가운데 9명 이상이 원전센터 건립 반대를 밝힌 만큼 핵 대책위가 주도하는 원전센터 건립 반대운동에 상당한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주민투표 관리위원회 박원순 위원장은 개표 후 "이번 주민투표 결과는 주민들의동의없이 원전센터 유치 신청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해 주민동의없이 유치 신청을 한 김종규 부안군수의 책임을 물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번 투표가 비록 법적효력이 없는 사적(私的) 행위에 불과하더라도 핵반대대책위측이 투표 결과를 근거로 원전센터 유치의 부당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할 것으로 보여 정치.사회적 여파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이번 투표는 오는 7월 주민투표법 발효 이후 실시될 부안군 주민투표의 사전 투표 성격을 띠고 있어 행정기관 주도의 공적 투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원전센터 유치에 찬성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핵반대 대책위측에 밀려 숨을 죽여왔던 주민들이 이번 투표를 통해 제목소리를 내 원전센터 유치를 찬성하는 민심도 상당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원전센터 유치 찬성측인 국책사업 유치추진연맹측도 "투표결과에 오류가 많고집계가 맞지 않는 등 의심이 가는 부분이 많다"고 지적하고 "핵반대 대책위 측이 투표율을 높이려고 버스와 봉고차를 동원한 상황에서 2천여명이 찬성표를 던졌다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연맹측은 "이번 투표는 법적 효력이 없기 때문에 투표결과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강조하고 "앞으로 추진될 정부 주관의 주민투표를 위해 원전센터의 안전성과경제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혀 공적 주민투표를 앞두고 찬.반측이또 한차례 치열한 장외 홍보투쟁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부안=연합뉴스) 김종량 기자 j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