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재팬클럽(SJC) 이사장에 연임된 다카스기 노부야 한국후지제록스 회장은 8일 "한국 혼자서는 노사문제 등 때문에 외국인 투자유치가 쉽지 않기 때문에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시장통합으로 투자유치를꾀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카스기 회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일 FTA가 맺어지면 한국의 대일무역적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은 근시안적 시각이며, 한.일 FTA는 인구 1억5천만명, 경제규모 5조달러의 거대한 단일시장을 탄생시킬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한국이 동북아 허브가 되는 데에도 한.일 FTA는 꼭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중국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길은 나쁜 이미지를 버리고 한국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살려야 한다"며 "후지제록스가 추진중인 연구개발(R&D)과 생산의 일체화가 좋은 예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후지제록스는 일본에서는 기술개발과 함께 복사기의 핵심인 엔진부분(IOT.ImageOutput Terminal)의 생산, 한국은 기술개발, 몸체 등 IOT 이외 부분 생산, 중국은조립공장 운영 등 체제로 생산구조를 재편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그는 "지난해 참여정부가 출범할 때는 이라크전, 사스, 북핵문제 등으로 외부경제여건이 지극히 좋지 않았고 내부적으로도 신용카드 사태와 내수침체 문제가 놓여 있었다"며 "노무현 대통령이 젊은 만큼 미숙한 점도 있었지만 최근 한국 경제의어려움은 대통령 개인의 책임이라기보다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올해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경제가 회복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정부도 동북아 허브 및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수행을 할 것이기때문에 작년보다 전망이 훨씬 밝다"고 말했다. 그는 "참여정부를 두고 `NAPO'(No Action Policy Only)라는 얘기도 하지만 정책은 괜찮기 때문에 이제는 자신감을 갖고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업문제와 관련해 "중국으로의 생산시설 이전으로 산업공동화가 진행되면서 실업문제가 악화되고 있다"며 "일본도 같은 문제로 고민하고 있지만 노령인구가 많아지는 데 착안한 실버산업 육성, 축적된 기술력을 십분 활용한 상품제조 및 고부가가치화 추진 등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내 기업활동의 어려움으로 ▲노사문제 ▲조세 ▲지적재산권 문제 ▲생활환경 등을 꼽았으며, 노사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업의 투명성 제고와 노사간 원활한 쌍방향 의사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카스기 회장은 "서울재팬클럽은 일본인과 일본기업이 아니면 회원이 될 수 없지만 한.일 우호관계에 기여하는 글로벌 경제단체로 만들려고 노력할 것이며, 특히할 말은 확실히 하고 건의도 적극적으로 하는 모임이 되도록 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