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우 정부 시절 정부가 공안기관을 동원해 현민주노총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를 와해시키려는 활동을 전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위원장 한상범)는 4일 오전 의문사위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노동부가 공안기관의 협조를 받아 작성한 문서 등을 공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의문사위가 공개한 문서는 노동부가 작성한 `90 하반기 전노협 및 문제노동상담소 대책'(이하 전노협 대책), `급진 노동세력 대책과 위법부당 쟁의행위 지도방안'(이하 급진 노동세력 대책) 등이다. 1990년 8월 작성된 전노협 대책 문건에는 "지역별 전노협 대책반을 구성해 탈퇴유도 등 범정부적 차원에서 집중지도.관리하고, 검찰,노동부,안기부,경찰 등 유관기관 합동대책반을 구성, 전노협 노조간부를 설득,탈퇴유도하는 등 순화활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한다"는 세부지침이 나와있다. 또 전노협 대책 및 급진 노동세력 대책 문건에는 민주노조 추진 핵심인물에 대한 내사와 제3자 개입 조항 등을 적용한 사법처리 방침과 함께 손배.가압류를 통한노동세력 탄압, 노조 자금원 차단대책 등이 기록돼 있다. 이와 함께 실제로 전노협 지역조직에 대한 와해활동도 적극적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7월 작성된 부산시 경찰국의 `부산노련 정기대의원 대회 개최결과' 문건에는 "8개 잔존 노조에 대한 와해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경우 부산노련의 조기해체가 가능할 것"이라고 기록돼 있다. 의문사위는 이처럼 부산노련 와해공작이 추진되던 시기에 박창수 한진중공업 위원장이 안기부의 전노협 회유공작 과정에서 숨진 사실을 확인하고 조사하고 있지만관련 기관의 비협조로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1991년 한진중공업 노조위원장이었던 박창수씨는 노동운동을 하다 안양교도소에수감됐고, 치료차 안양병원에 입원했다가 같은 해 5월6일 의문의 변사체로 발견돼의문사위가 현재 조사를 벌이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