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서울역과 대전역 동대구역 등 고속철도 주요 정차역 주변 교통량이 도로 수용한계를 넘어서 극심한 교통정체가 빚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교통 인프라 구축등 정부의 연계교통망 계획은 오는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어서 '뒷북대책'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1일 건설교통부와 교통개발연구원에 따르면 '고속철도 시대를 위한 국가교통체계 연구'의 하나로 서울역과 대전역 동대구역 부산역 등 경부고속철도 주요 정차역의 주변도로 여건변화를 예측한 결과 부산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 주변 도로에서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교통량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역 일대의 경우 주변 청파로는 도로수용능력 대비 교통량(VC:Volume Capacity)이 개통전 1에서 고속철도 개통 뒤 1.45로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다. VC가 1을 넘어서면 교통량이 도로용량을 초과해 교통혼잡이 발생하거나 도로로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사실상 잃어버린다는 의미다. 이런 전망은 청파로 주변 교통량이 고속철도 개통 이전 출ㆍ퇴근 시간대를 중심으로 시간당 4천1백69단위(PCU)가 발생하던 것이 고속철도 개통 이후 45.7% 늘어난 6천76단위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데 따른 것이다. 퇴계로는 0.83에서 1.12로, 한강로는 0.86에서 1.19로 각각 고속철도 개통 이후 VC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전역 주변은 삼성로 0.88에서 1.85, 중앙로 0.62에서 1.1, 충무로가 0.56에서 1.03 등으로 교통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동대구역 일대도 동대구로 0.83에서 1.14, 동부로가 1.48에서 1.84 등으로 교통량 변화가 예상됐다. 건교부는 이와 관련해 지난해 확정한 경부고속철도 연계교통체계 구축 기본계획을 통해 단기과제로 버스노선 신설, 역주변 대중교통 우선 접근체계 정비 등을 추진하겠다는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경의선 제2복선전철화(2020년이내), 인천공항철도(2008년), 경의선 복선전철화(2008년), 신안산선(2012년), 대구선 복선전철화(2018년) 등 연계 교통 인프라 구축은 중ㆍ장기 과제로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다. 김후진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