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국민의 힘' 등 이른바 친노(親盧) 단체들이 결성한 `국민참여 0415'의 총선 당선운동을 놓고 정치권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겉으로 드러난 논란의 핵심은 이 단체의 활동이 불법인지, 적법인지에 쏠려 있는 듯 하지만, 실상은 각 당의 총선 구도와 깊숙이 맥이 닿아 있다. 총선구도를 친노와 반노(反盧)의 대결구도로 몰아가려는 쪽과 이를 반대하는 쪽,반대하는 척하면서 은근히 반기는 쪽 등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셈이다. 한마디로 동상이몽을 꾸는 격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야권은 친노 단체들의당선운동이 열린우리당 후보들의 당선을 위한 조직적 세몰이로 규정하고 이를 비난하는데는 이견이 없는듯 하지만, 대처방법론 및 부수적 결과에 대한 시각에서는 양당간 차별성이 엿보인다. 이른바 총선 `양강(兩强)구도'를 필사적으로 저지하려는 민주당과 은근히 반노진영 및 반노성향 유권자들의 결속을 통해 양강구도에서 이익을 챙기려는 한나라당의 셈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민주당 장성민 청년위원장은 "친노단체의 결성은 총선 양강구도 전략속에서 나온 고도의 선거전략"이라면서 "결국은 민주당을 고사시키고 한나라당과 1당싸움을하겠다는 열린우리당의 치밀한 술책"이라고 비난했다. 반면 한나라당의 핵심관계자는 "친.반노라기 보다는 노 대통령이냐, 한나라당이냐의 선거가 될 것"이라면서 "노무현 대통령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민주당의 우산아래 결집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결국은 친.반노의 대결구도로 몰아가는 것이 한나라당 지지세력의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열린우리당이 총공략을 펴고 있는 부산.경남지역유권자들을 한나라당쪽으로 견인하는 지렛대가 될 것이라는 판단인 것이다. 한나라당이 이번 총선을 `노무현 대통령 집권 1년에 대한 심판'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다만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어느정도 열린우리당의 표를 분산시켜야 한나라당 후보들이 유리하다는 판단에서 `민주당 고사'보다는 약체화 쪽에 무게가 실려 있다. 열린우리당측은 총선구도가 현실적으로 양강구도로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판단에서는 한나라당과 이해가 일치하지만, 이에 따른 총선결과 예측은 정반대다. 현 총선구도는 지난 2002년 대선의 재판(再版) 형식이 될 것이며, `정치개혁'을내세운 열린우리당이 `차떼기 정당'으로 표현되는 한나라당과의 비교우위 싸움에서우세한 형국이라는 것이다. 이번 기회에 분당으로 인해 갈라진 호남 표심을 반(反) 한나라당 전선으로 한데묶으면서 총선을 개혁과 반개혁의 대결구도로 가져가겠다는 속내도 숨기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노 대통령의 지지율이 낮은 상황에서 선거전이 친.반노대결구도로 비쳐지는 것에는 일정한 경계심을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친.반노가 아니라 개혁과 반개혁, 지역구도와 반지역구도의대결로 압축될 것"이라면서 "시민단체들의 운동은 개혁성향 유권자 연대의 구심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