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율이 높은 지역은 보험료를 올리고 낮은 지역은 보험료를 내리는 `자동차보험 지역차등화제'를 반대하는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15일 전주시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추진하려는 자동차보험 지역차등화는 "정부의 중앙집중식 개발정책으로 낙후된 지역의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 등 기반시설 미비를 무시한 지역 역차별 정책"이라며 시행계획을 전면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전북도 관계자도 "전북의 손해율이 높은 것은 도로여건이 나쁘기 때문이며 이는과거 정부정책이 잘못됐던 데 기인하는 만큼 전북도민이 보험료를 많이 내는 것은잘못"이라고 주장했다. 전주시는 이에 따라 전남 순천시와 강원도 춘천시, 충남 금산군, 울산시 남구청,대전 서구청 등 전국 기초단체와 공동으로 보험료 지역차등화 방안 철회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다음달부터 전국 주요 도시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명운동을벌여 이를 재경부와 금감원에 전달하고 서울에서 `자동차보험 지역차등화 철회 전국규탄대회'를 열 예정이다. 시는 이와 별개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 다발 지역에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고 보험 관련 가짜 환자에 대해서는 사법 당국에 수사를 촉구할 방침이다. 김완주 전주시장은 "자동차보험 지역차등화는 중앙정부의 책임을 지역주민에게전가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잘사는 도시는 보험료를 내리고 못사는 지역은 보험료를 올리는 지역 역차별을 조장하는 정책"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전주시와 군산시가 속한 전북지역은 2002회계연도 기준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74.0%로 강원도(78.9%), 충청남도(78.4%)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전주=연합뉴스) 김종량 기자 j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