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이라크 시아파 최고성직자의 조기총선 요구에대해 불가입장을 밝혔으나 과도의회 및 정부 구성과정의 투명성 제고와 참여 확대를위해 주권이양계획을 부분적으로 수정할 방침인 것으로 12일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이미 합의된 권력이양 일정은 고수하는 대신 과도의회 구성을 위한 코커스 형식의 간접선거가 보다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보완조치를 강구하는 선에서 새로운 계획이 마련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주권이양안을 거부한 아야톨라 알리 알-시스타니의 발표가 나오자 미 행정부가 워싱턴과 바그다드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소집, 대응책을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미 행정부 관리들은 주권이양계획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해 진 것같다면서 그러나 6월30일까지 이라크 과도정부를 구성, 통제권을 넘긴다는 기본일정은절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폴 브리머 이라크 미군정 최고행정관도 이날 CBS 방송 등에 출연, 시스타니가요구한 조기총선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브리머 최고행정관은 선거법이나 선거관리위원회, 정당법 등 총선을 실시하기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정비도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커스 형식의 간접선거를통해 과도의회를 구성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시스타니의 조기총선 요구를 미국이 거부하는 배경에 시아파 정권 출현에대한 견제심리가 자리잡고 있다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하는 말에 불과하다면서 민주주의에서 다수파가 정권을 잡는 것이 당연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은 그러나 과도의회와 과도정부 구성을 위한 선거방식에 대해 다소간의 유연성을 보이고 있는 것과는 달리 미군 주둔 승인문제에 대해서는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행정부 관리들은 미군주둔에 관한 어떠한 협정도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의원들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시스타니의 주장으로 인해 이라크 주둔군 유지에 따른제도적 정비작업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행정부 관리들은 이라크 시아파 설득에 유엔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엔의 역할범위는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과 미국, 이라크 관리들이 만나는 다음주 초쯤에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시스타니는 11일 직접 선출된 의원들만이 미국이 지지하는 이라크 정치청사진 이행에 필요한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는 이유로 조기총선을 요구, 권력이양에 앞서 임시의회를 선출하려는 미국의 계획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시스타니는 또 선거로 구성된 의회만이 과도통치위원회가 초안을 마련한 과도헌법과 7월1일 이후에도 미군과 연합군의 지속적인 주둔을 허용하는 보안협정을 인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 AP.AFP=연합뉴스) k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