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24일 국회 정치개혁특위가 지역구 의원수, 인구상하한선 등 선거구획정 가이드라인에 대해정치적 합의나 표결처리 등 명백한 형식의 결의를 할 때까지 선거구획정 작업 착수를 유보키로 했다. 선거구획정위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전날 정치개혁특위가 선거법 개정안을 상정하고 야3당의 합의안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출한데 대해 논의, 이같이 결정짓고 "정개특위측에 오는 26일까지 최종 결정해 줄 것을 요구키로 했다"고김성기(金成基) 위원장이 밝혔다. 이에따라 선거구획정위의 선거구 획정작업은 오는 26일 정개특위 전체회의에서선거구획정 가이드라인에 대해 좀 더 명백한 의결을 거쳐야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선거구획정 가이드라인을 둘러싸고 야3당과 열린우리당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고, 열린우리당이 표결처리에 대해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김 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통해 "지역구 의원수, 인구상하한선, 인구산정시점 등에서 명백한 결의가 없으면 획정위는 일하기 어렵다는 결정을 내렸다"면서 "정개특위에서 가이드라인을 상정했느냐, 안했느냐에 대해서도 다툼이 있고,법률적 효력에 대해서도 다툼이 있는데 획정위는 그 다툼의 가부에 대해 결정내릴입장에 있지 않고 끼어들고 싶지도 않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정개특위가 오는 26일까지 어떤 방식으로든 확실한 결정을 내려주지 않으면 이미 밝힌 대로 획정위원 전원이 사퇴할 것"이라면서 "이런 내용을공한을 통해 박관용(朴寬用) 국회의장에게 곧바로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정개특위 목요상(睦堯相) 위원장은 "선거구획정위의 입장이 그렇다면 26일 전체회의를 열어서 의결을 하겠다"면서 "열린우리당이 또다시 표결을 저지, 의결이 안될 경우 모든 책임은 열린우리당이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26일 정개특위에서 표결이 이뤄질 경우 야3당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야3당의 주장대로 관철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열린우리당이 정상적으로 표결에 응할 지 여부가 주목된다. 야3당은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 ▲인구상.하한선 10만~30만명 ▲지역구의원수 243명 내외 ▲전체 의원정수 289명 내외 ▲인구기준시점 2003년 3월31일 ▲비례대표 전국 단위 선출 ▲8년단위 선거구 획정 등을 주장하는 반면, 열린우리당은 ▲지역구 의원수 227명 유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3월말을 기준으로 인구상하한선이 10만~30만명으로 결정될 경우 서울 성동, 노원, 송파 등 26개 선거구가 분구되고, 대구 중, 강원 영월.평창 등 인구하한선인 10만명에 미만하는 11개 선거구는 인근 지역 선거구와 통폐합될 전망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고일환 김중배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