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산하 기관장들이 방산업체 등으로부터 돈을 받은 정황이 경찰에 포착돼 잇따라 소환되는 등 군납 및 무기거래 비리수사가 끝없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경찰은 이들이 열린 우리당 천용택(千容宅.66) 의원과 김동신(金東信.62)전 국방장관의 인맥으로 분류되는 점에 비춰 이번 돈수수 정황이 천 의원 등의 비위의혹 규명에 단서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이 부분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 무기납품비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20일 국방부 산하 연구소 소장인 A(62)씨와 또 다른 연구소의 소장급인 B(58)씨를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해 비리에연루됐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A씨와 B씨가 어뢰공격회피장비 생산업체인 M사 대표 최모(53)씨등으로부터 소액의 돈을 받았다는 최 씨의 진술을 확보해 이 돈의 성격, 대가성 확인 등을 위해 불렀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이들이 수뢰 의혹 등을 강력히 부인해 일단 21일 새벽에귀가시켰다"면서 "오늘 오후 다시 불러 수뢰여부와 천 의원 등과 관계를 정밀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는 이들의 해명을 듣기 위해 집전화와 휴대폰으로 접촉을 시도했으나연결되지 않았다. 경찰은 김동신씨가 장관으로 재직하던 작년 초 연구소장에 임명된 A씨와 군 내천 의원의 인맥으로 분류되는 B씨가 천 의원 등의 부탁을 받고 모종의 불법행위에가담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경찰은 천 의원이 지난 해 정호영(49) 전 한국레이컴 회장으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해 오는 29일 오후 2시 출두하라고 2차 출석요구서를 보냈다. 경찰은 또 국방부 전 시설국장 신모(57.예비역 소장)씨로부터 진급 대가로 1천만 원을 받은 혐의(사후수뢰)로 김 전 장관을 최근 검찰에 불구속 송치한 뒤 다른비위 의혹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이충원기자 chung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