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 부패의 가장 큰 원인은 `혈연.지연.학연 등 부패친화적 사회문화 환경' 때문이며 특히 공무원사회에서 연고주의가 강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부패국민연대/국제투명성기구 한국본부(회장 김상근)는 지난 9~10월 중앙부처와 광역자치단체 공무원, 10개 대기업 회사원, 14개 시민단체 회원 등 349명을 상대로 우리 사회의 투명성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자신이 일하는 영역에서 `연고주의'의 영향력이 얼마나 되는가를 물은 결과 라는 공무원의 79.0%, 기업의 47.8%, 시민단체의 20.0%가 `크다'고 답해 특히 공무원사회에서의 연고주의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의 부패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46.4%가 부패친화적 사회 환경을 꼽았고 `정치권 등 사회고위층의 부정부패가 끊이지 않아서'(43.5%), `부패를 막을 수 있는 법과 제도가 미비해서'(6.1%)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부패한 집단으로는 정치권(20%)이 꼽혔고 언론계(14.9%), 법조계(11.1%), 공무원(11%),경찰(10.5%)의 순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일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투명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의 87.6%, 기업의 86.2%, 시민단체의 94.7%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현재 근무처에서 투명성 증진을 위해 개선돼야할 부분으로는 공공기관은 인사투명성, 기업과 시민단체는 정책결정의 투명성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의 65.4%, 기업의 82.6%, 시민단체의 68.0%가 윤리강령이 투명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공공기관의 55.9%, 기업의 44.8%, 시민단체의 60.8%는 자신이 일하는 조직에서 내부 고발자 보호장치가 마련돼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반부패국민연대는 "설문 참가자의 87.9%는 한국사회를 부패한 사회로 인식하는 등 부패 체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며 "윤리강령 도입, 내부 고발자 보호장치 강화 등을 통해 부패를 집중적으로 감시.견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설문의 신뢰도는 95%이며 오차율은 ±3.1%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