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71년의 무령왕릉 발굴 이후 최대급 백제고분군 유적이 공주에서 확인됐다. 백제가 한성에 도읍한 5세기 초반에 집중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 고분에서는 금동관모 2점과 금동신발 3켤레, 금제귀고리 및 환두대도 등 국보급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충남발전연구원(원장 이해준)은 공주시가 '의당농공단지' 건설을 추진 중인 공주시 의당면 수촌리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4세기 후반∼5세기 초ㆍ중반기에 집중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고분 6기를 확인했다고 2일 발표했다. 이들 고분 중 목곽묘인 1호분(묘광 기준 5 x 3.8m)에서는 금동관모와 금동신발이 환두대도 등과 함께 출토되었으며, 횡구식 석실분인 4호분에서는 금동신발 1켤레가 바닥을 위로 둔 채 환두대도와 함께 발굴됐다. 또 횡혈식 석실분인 5호분에서는 중국제 청자 3점 및 삼각형 구멍을 뚫은 굽다리접시 토기와 함께 금동신발 1켤레가 출토됐다. 아직 수습이 끝나지 않은 이들 금동신발 3켤레중 일부에서는 T자형 무늬와 용무늬 등이 육안으로 판별되고 있다. 이같은 백제 금동신발 및 금동관 출토량은 단일 유적으로는 최대 및 최다 수준으로 꼽힌다. 충남발전연구원은 발굴 결과에 비춰 한성 도읍기에 이미 웅진 일대에는 상당한 세력과 기반을 갖춘 지방세력이 존재했음을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