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우리 경제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외여건부터 살펴보는 것이 순서일 것같다. 우리 경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보면 대외변수가 약 70% 정도 좌우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미국경제가 중요하다. 다행인 것은 미국경제를 파악하는 여러 방법을 종합해 볼 때 2002년 1·4분기를 저점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들어서는 경기회복의 마지막 장애요인인 실업률과 같은 고용지표도 개선되고 있어서 미국경제가 다시 한번 침체된다는 이중침체(double dip) 시각은 사라졌다. 오히려 미국경제에 대해서는 '마냐나 경제론'까지 등장하고 있다. 마냐나(Manana)란 스페인어로 '내일은 태양만 뜬다'는 의미로 미국경제를 낙관하는 시각이다. 대부분 예측기관들이 내놓는 내년도 미국경제 전망을 보면 잠재수준(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추정)인 3.5%보다 높은 4%대는 무난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04년 일본경제에 대한 시각은 낙관론과 신중론이 엇갈리고 있는 상태다. 일본의 경제각료들은 올들어 외국계 자본의 유입으로 부동산과 주식값이 상승한 점을 근거로 장기침체의 골을 끝내고 2004년에는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일본경제가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우세하다. 경기이론상으로 특정국가가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경기회복세가 최소한 2∼3분기 정도 지속돼야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민소득(GDP) 기여도의 약 66%를 차지하고 있는 민간소비의 회복세가 미흡하다. 그동안 일본 정부는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했으나 아직까지 기대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일본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도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현 고이즈미 정부는 이 문제를 정리하기 위해 취임 이후 강력한 구조조정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으나 오히려 부실채권 규모는 늘어나는 실정이다. 이런 점을 감안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최소한 내년까지 일본경제는 신중론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시각이다. 예측기관들은 2004년에 일본경제는 2%대를 넘어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내년 유럽경제는 2003년 하반기와 마찬가지로 완만한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경제는 유럽통합 진전에 따른 자체적인 역내성장 동인을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현재 유럽통합은 두가지 방향에서 진전되고 있다. 하나는 기존의 유럽연합(EU) 회원국 가운데 영국 스웨덴 덴마크가 언제 유로랜드에 가입하느냐 하는 점이다. 이 문제는 올 하반기에 실시된 스웨덴의 국민투표 부결로 당초 예상 일정보다 지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EU의 회원국 확대를 규정한 니스 협약에 따라 내년 5월 말까지 시한으로 잡혀있는 동유럽과 지중해 연안 10개국이 EU에 가입한다 하더라도 순조롭지 못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여러 요인 가운데 기존 15개 회원국과의 경제력 격차가 큰 것을 극복하지 못할 것으로 보는 것이 이 같은 비관론의 가장 큰 근거다. 결국 2004년에도 미국 중심의 세계경제 질서(america-oriented society)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미국의 쌍둥이 적자,일본의 부실채권,유럽의 통합일정 등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2004년에 세계경기가 회복된다 하더라도 국제통상과 통화질서,세계 각국간의 경제관계 등이 그렇게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