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 증권업협회 투신협회 등 금융협회장들과 국책·시중은행 은행장들이 긴급 간담회를 갖고 주식투자 비중을 90% 이상으로 높이고 투자손실 폭을 원금의 9% 미만으로 제한한 새 주식연계형 금융상품을 판매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이는 부동산에 몰려 있는 막대한 부동(浮動)자금을 증시로 끌어들이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풀이된다. 그러나 새 금융상품 판매가 시중자금을 증시로 끌어들이는데 과연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과거에도 원금보장형 주식투자상품을 판매한 적이 있지만 실적이 미미했던 터라 더욱 그렇다. 부동자금을 증시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특히 기관투자가의 자금운용이 지나치게 채권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 현실을 감안하면 그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하겠다. 국민연금의 경우 10월말 현재 보유 금융자산 90조원 가운데 90% 이상이 채권에 투자돼 있으며,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교원공제회 보험사 등도 거의 비슷한 형편이다. 이렇게 주식과 채권 투자비중이 극심한 불균형을 보이는 바람에 채권유통수익률이 떨어져 가뜩이나 자금사정이 어려운 투신권에서 지난 달에 또 5천억원이 빠져 나가는가 하면,주식매수여력이 크게 부족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주가를 좌우하는 등 부작용이 상당히 큰 실정이다. 그러나 아무리 부동자금을 끌어들이기 위한 방편이라고는 하지만 주식투자 비중을 90% 이상으로 끌어 올리면서,다른 한편으로 투자손실 폭을 원금의 9% 이내로 제한할 수 있는지 의문이 없지 않은 것 또한 사실이다. 이번 상품이 과거 비슷한 취지의 금융상품과는 달리 원금을 보장하거나 세제 혜택을 주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자금유입 효과에 대해 더욱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호주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고 영국도 콜금리 인상이 예상되는가 하면 국내에서도 국고채 금리가 사흘 연속 오르는 등 금리상승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어 금융시장이 매우 유동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마땅하다. 섣불리 주식투자에 나섰다가 자칫 큰 손실을 볼 위험이 적지 않은 터에 기관투자가들의 보수적인 자금운용 행태를 바꾸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자금의 증시유입을 서두르기 앞서 이 모든 금융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금리수준과 자금흐름을 섬세하게 조정해 나가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