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이라크 관련 결의안 표결을 당초 15일 저녁에서 16일 오전 10시(한국시간 16일 오후 11시)까지 연기하는데 동의했다고 외교소식통이 15일 말했다. 미국이 표결을 연기키로 한 것은 세르게이 라브로프 유엔주재 러시아 대사가 프랑스와 독일, 러시아 등 3개국 정상이 미국이 제출한 수정 결의안 내용을 논의한 뒤지침을 줄 때까지 표결에 임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안보리 회의에 참석했던 한 외교 소식통은 "존 네그로폰테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표결연기를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에 앞서 안보리는 당초 15일 오후 3시로 예정된 이라크 결의안 표결을 오후 5시(한국시간 16일 오전 6시)로 2시간 연기한 데 이어 또 다시 오후 7시로 연기하는등 2차례나 연기했다. 미국의 한 소식통은 이같은 표결 지연은 미국이 안보리 15개 이사국으로부터 결의안에 대한 최대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막판 설득작업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측은 이번 표결에서 결의안 통과에 필요한 찬성 9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미국의 전후 이라크 계획에 대한 반대 의사로 해석될 수 있는 기권표가 얼마나 나올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아돌포 아길라르 진세르 유엔주재 멕시코대사는 "미국이 9개국으로부터 찬성표를 얻고 5∼6개국은 기권을 하도록 하는 분산 작전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이는 "이라크 문제를 어떻게 진전시킬 것인지에 관해 안보리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메시지"라고 분석했다. 프랑스는 이미 이라크 결의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 가능성을 배제한 바 있으며,러시아의 이고리 이바노프 외무장관도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은 어느쪽에서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었다. 왕광야(旺光亞)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결의안이)많은 진전이 이뤄졌지만 여전히 우리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한다"면서 "중국은 결의안에 이라크 국민에 대한 조기주권이양 방안과 유엔 역할 확대가 명확히 포함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서 러시아와 독일, 프랑스 등 이른바 반전 동맹 3개국은 미국이 제출한 이라크 수정결의안중 이라크 주권이양 일정 마련 과정에 유엔 사무총장과 안보리가 참여할 수 있도록 일부 조항을 수정한 새로운 결의안을 제출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 (유엔본부 AFP=연합뉴스) hoon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