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오는 12월 재신임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이후 공직사회가 벌써부터 레임덕 현상에 빠져들고 있다고 한다.가뜩이나 경제가 좋지 않고 국정현안도 산적한 상황에서,그것도 새 대통령이 취임한지 8개월만에 이런 현상이 빚어진다니 참으로 씁쓸하기 짝이 없다. 현 내각의 임기가 길어야 6개월에 불과할 것이라는 점은 기정사실이 되다시피했다. 대통령이 재신임을 받을 경우 약속대로 내각 쇄신에 나설 것이고 재신임을 받지 못한다면 새 정권이 들어설 수밖에 없다. 설령 국민투표가 실시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분위기 쇄신은 불가피하다고 봐야 한다. 퇴진이 예고된 상황에서 일이 손에 잡힐 리 없는 만큼 개각방침을 꼭 조기에 밝혀 공직사회를 흔들어야 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경제형편은 최악이다. 9월 소비자 체감경기 지수가 조사시작 이래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고 거리엔 청년실업자와 중장년 명퇴자들이 넘쳐난다. 국정현안도 한두가지가 아니다. 기승을 부리는 부동산투기를 잠재워야 하고, 위도 핵폐기장 건립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새만금사업, 경부고속철도, 노사관계 혁신 로드맵,경기회복 후속조치 등도 시급하긴 마찬가지다. 게다가 일부 부처 장관의 경우 총선출마설까지 흘러나오는 상황에서 과연 정부가 나라경제의 중심을 잡을 수 있을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뒤늦게 청와대가 "개각이 반드시 전면적인 것은 아닐 것"이라는 말을 흘리고 국무총리실도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공직자 기강 점검에 나선다고는 하지만 분위기가 추스려질지 걱정이다. 이런 상황일수록 공직자들은 정권을 위해서가 아니라 국민과 국가를 위해 일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특히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경제관료들은 결코 정치에 흔들리지 말아야 한다. 재신임 문제 때문에 국정이 극도로 흔들리는 상황에서 나라경제의 중심은 경제관료가 잡아야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