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왕립과학원은 7일 러시아 태생 미국인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75),러시아인 비탈리 긴즈부르크(87),영국 태생 미국인 앤서니 레깃(65)을 올해 노벨 물리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 왕립 과학원은 이들이 "초전도체(superconductors)와 초유체(superfluids)라는 양자물리학의 두 가지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데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수상 이유를 설명했다. 아브리코소프는 미국 일리노이주 아르곤 국립 연구소,긴즈부르크는 러시아 모스코바 레베데프 물리학 학회 연구원이며,레깃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들 3명은 1천만크로네(약 15억원)의 상금을 나눠 갖게 된다. 초전도체와 초유체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30년대이지만 이들 수상자들은 이를 체계적으로 이론화,산업계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왕립과학원에 따르면 아브리코소프와 긴즈부르크는 초전도체 이론을 발전시켜 자기장이 아주 강할 때도 초전도성과 자기성을 유지하는 금속(2종 초전도체 금속)의 존재를 밝혔다. 레깃은 초유체상태인 물질은 일반 분자 구조와 달리 원자와 전자가 두개씩 짝을 이룬다고 명시,초유체 이론을 정립했다. 초전도체는 일부 금속이 저온에서 전기 저항을 받지 않는 것을 말하고 초유체는 절대 0도(섭씨 영하 2백73.15도)에서 액체헬륨의 움직임이 극히 자유로워지는 현상으로 둘다 저온에서 물질의 성질이 변한다는 사실과 관련있다. 초전도물질은 현재 자기공명단층촬영(MRI)장치,입자물리학 가속기,초소형 전기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있다. 포항공대 이성익교수는 "산업 현장에 응용할수 있는 제2종 초전도체를 발견한 아브리코소프와 긴즈부르크는 이미 몇십년전에 노벨상을 받았음직한 사람들"이라며 "앞으로 산업 다방면에 쓰일 초전도 혁명이 일어난다면 이는 분명 이들의 공로"라고 말했다. 한편 군나르 외키스트 스웨덴 왕립 과학원 사무총장은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과 의학상이 우연히도 (MRI란) 비슷한 분야의 업적에 대해 주어지게 됐다"며 "MRI는 초전도체의 응용 분야 중 하나에 속하며 올해의 노벨 물리학상은 이같은 응용을 가능케 한 발견에 돌아갔다"고 덧붙였다. 전날 노벨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미국의 폴 로터버(74) 일리노이대 의과대 교수와 영국의 피터 맨스필드(70) 노팅험대 물리학과교수도 MRI 기술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