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마디로 계약서는 산모를 미국에 보내기 위해 내놓은 것에 불과했습니다" 알선업체를 통해 원정출산을 다녀온 산모들 가운데 일부가 미국 현지에 도착한뒤 제왕절개수술을 권유받고, 추가 비용을 더 내라는 요구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일부 알선업체의 경우 산모들의 항의에 대해 "그러면 아기의 출생증명서를받을 수 없다"며 협박까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서대문경찰서는 25일 원정출산을 다녀온 산모 가운데 일부를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은 피해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한 30대 산모는 "무엇보다 제왕절개수술을 하라는 억지 권유에화가 났다"며 "산전(産前) 거주지의 열악한 서비스에도 분노했다"고 말했다. 이 산모는 또 "현지 관광을 하도록 부추겨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한 것은 물론이고 외출을 시켜준다는 약속마저 지키지 않았다"며 "불만을 표시하자 오히려 `그러면 아기 출생증명서를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협박해 울며 겨자먹기로 돈을 더 냈다"고 털어놨다. 그는 "국내에서는 충분히 자연분만이 된다고 했는데 그곳 의사가 아이가 너무커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고 했다"며 "그러나 정작 태어난 아이는 조그만하더라"고말했다. 경찰은 이에 따라 국내 알선업체가 미국 현지 브로커나 의사와 공모해 관광이나제왕절개수술을 권유하고, 커미션 명목으로 돈을 받았는지 등을 집중 수사할 계획이다. 경찰은 그러나 국내 알선업자들이 이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는 데다 현실적으로 미국 브로커나 의사를 직접 수사하는 게 불가능해 국내 업자에 대한 사기 혐의적용에 애를 먹고 있다. 경찰은 산모들을 최대한 설득, 유사한 피해 사례가 있는지를 추가로 밝혀내는등 수사를 강화, 1주일 내에 알선업체 대표 등을 상대로 구속영장을 재신청할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