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굿모닝신한증권 백준승 연구원은 텔슨전자 본사 사옥 매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올해 예상 순부채 비율이 122%에서 63%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백 연구원은 주가 촉매가 매각 성공과 뚜렷한 실적 회복 가능 여부라고 판단하고 매각 완료시까지 현재 실적 추정과및 중립 의견을 유지.
한경닷컴 박병우기자 parkbw@hankyung.com
지난해 세계에서 수익률 꼴찌였던 한국 증시가 새해 초반 반전 드라마를 쓰고 있다. 일본 중국 등 주변국 증시가 주춤한 가운데 나홀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수준)이 ‘역대급 저평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인식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맞아 다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싸다는 게 최대 매력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코스피지수는 5.17%, 코스닥지수는 6.86% 상승했다. 미국 중국 일본 대만 등 글로벌 34개국 대표지수 중 수익률 2위와 1위에 올랐다.같은 기간 미국 S&P500지수는 1.96% 오르는 데 그쳤고 상하이종합지수와 닛케이225지수는 각각 3.28%, 3.62% 떨어졌다. 글로벌 증시 상승 속에 나홀로 약세를 기록했던 지난해와는 정반대 분위기다.지난해 하반기부터 매도 폭탄을 쏟아내던 외국인 투자자는 올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8296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이끌었다. 연기금과 개인도 각각 1조4396억원, 1조2665억원어치를 사들이며 힘을 보탰다.국내 증시의 밸류에이션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에 저가 매수를 노린 투자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반등에도 불구하고 현재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역사적 저점인 8배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평균 10배 수준이었다. 9배 밑으로 떨어진 건 2008년 금융위기(7.8배), 2018년 미·중 무역분쟁(8.5배), 2020년 코로나19 확산(7.9배) 세 번뿐이다.강대권 라이프자산운용 대표는 “정치적 혼란으로 국내 증시가 글로벌 대비 과도하게 하락한 측면이 있다”며
게임주가 주춤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크래프톤 독주 체제가 이어지고 있다. 카카오마저 제치며 인터넷·게임 업종 시가총액 2위에 올랐다. 'PUBG: 배틀그라운드' 지식재산권(IP)이 건재한데다 올해 신작 발표도 예정돼있다. 일각에선 크래프톤이 모처럼 공모가(49만8000원)를 회복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크래프톤의 주가는 9.18% 오르며 코스피 상승률(5.17%)을 웃돌았다. 같은 기간 넷마블(-8.8%), 시프트업(-2.68%), 엔씨소프트(-1.04%) 등 다른 대형 게임사가 약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인 흐름이다. 지난해 8월 기록한 52주 최고가(35만5000원)에도 바짝 다가서고 있다.'큰 손'의 매수세가 주가를 끌어올린 모습이다. 올해 들어 외국인은 크래프톤 주식을 404억원어치 순매수했다. 기관도 67억원어치 사들였다. 현재 크래프톤의 시가총액은 16조3601억원이다. 유가증권시장 시총 순위 25위에 올랐다. 카카오(16조1493억원), 삼성SDI(16조909억원)를 제치며 순위를 끌어올렸다. 24위 하나금융지주(16조4589억원)와의 격차는 100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주가가 오르자 개인 투자자들은 환호하고 있다. 한 주주는 주식 커뮤니티에 "30만원대 초반부터 조금씩 모았는데, 이번엔 35만원대 돌파했으면 좋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른 투자자는 "인조이 출시 전까지 불타기(추종 매수) 할 예정"이라고 했다.크래프톤이 다른 게임사와 차별을 보인 배경엔 메가 IP가 있다. 대부분의 게임은 속도의 차이가 있을 뿐 출시 후 매출이 하향 안정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하지만 2017년 출시된 배틀그라운드 실적은 오히려 개선되는 추세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배틀그라운드 PC 버전
금융감독당국이 불법 무차입 공매도 방지를 위한 세부 규정을 마련했다. 당국은 이를 기반으로 오는 3월 말까지 공매도 거래 전산화 준비를 마친 뒤 공매도 거래 전면 재개에 나설 계획이다. 19일 금융감독원은 한국거래소와 함께 공매도 통합 가이드라인 최종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국내 시장에서 불법인 무차입 공매도를 방지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은행(IB)을 비롯한 기관투자가, 금융투자사 등에 관리 의무를 강화한 게 골자다. 금감원은 법인별 내부통제 기준 강화 정도를 무차입 공매도 발생 가능성에 비례해 차등화하기로 했다. 공매도 잔고가 발행량의 0.01%(1억원 미만은 제외) 또는 10억원 이상인 등 대규모 공매도 거래를 할 수 있는 기관, 시장조성자(MM)·유동성공급자(LP) 역할을 맡은 금투사 등은 자체적으로 공매도 잔고관리 전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에 해당되지 않는 소규모 기관 등의 경우엔 공매도 업무규칙을 마련하면 된다. 대규모 공매도 법인의 잔고관리 전산시스템이 반드시 들여야 할 기능도 규정했다. 종목별 실시간 잔고를 산출해 관리하도록 하고, 잔고를 초과하는 주문은 실시간으로 차단하는 등이다. 기관투자가는 주식을 차입하는 단계부터 공매도 목적인지를 밝히고 차입 주식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기관들은 그간엔 공매도 외에 현금담보부거래, 재대여거래 등 각기 다른 목적으로 빌린 주식을 포괄해 관리해왔다.공매도 주문을 위탁받는 공매도 수탁 증권사의 무차입공매도 방지 조치 확인의무도 강화했다. 공매도 주문을 위탁받는 증권사는 IB 등 법인이 내부통제 기준과 전산 시스템 등을 갖췄는지 연 1회 확인하고, 결과를 1달 내에 금융감독원에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