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등으로 이른바 `한탕주의'가 확산되면서 보험금을 노리고 일부러 사고를 내거나 피해를 부풀리는 보험 사기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보험 사기를 시도하다 적발된 건수는 3천621건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2천905건에 비해 24.6%가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전체 적발 건수인 5천757건의 63%에 해당하는 것으로 주춤했던 보험 사기가 올 들어 다시 급증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보험 사기 적발 건수는 1999년 3천876건에서 2000년 4천726건으로 21.9%가 증가했고 2001년에도 5천749건으로 21.6%가 늘었으나 지난해에는 0.1% 증가에 그쳤었다. 올 상반기에 적발된 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일부러 사고를 낸 뒤 보험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409건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241건에 비해 69.7%나 급증했고 보험금 지급 사유가 아닌 사고를 보험 사고로 위장하는 경우도 277건으로 56.5%가 늘었다. 보험 사고 피해 부풀리기도 50.2%가 증가한 332건이 적발됐고 사고 후에 보험에든 뒤 사고 발생 시점을 늦춰 보험금을 타려던 시도도 466건으로 22.3%가 늘었다. 가장 많은 유형은 운전자 바꿔치기로 1천306건이 적발됐으나 작년 상반기의 1천282건에 비해서는 1.9% 증가에 그쳤고 전체 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상반기의 44.1%에서 36.1%로 줄었다. 금감원은 보험 사기 급증에 대해 경기 침체로 인해 수입이 줄거나 실직자가 늘어나면서 보험 사기를 통해서라도 목돈을 잡아 보려는 사람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이와 함께 금감원과 보험회사들의 단속이 강화됨에 따라 이전에는 그냥 묻혔을보험 사기가 적발되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 사기가 늘어 보험회사의 손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가 올라 소비자들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보험 사기를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대응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