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측으로부터 150억원을 뇌물로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박지원 전 문화부장관이 19일 대검 중수부에 전격 소환됨에 따라 150억원을 둘러싼 각종 의문이 풀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검찰이 박 전 장관을 상대로 밝혀내야 할 의문점은 박 전 장관이 실제로 김영완씨로부터 150억원을 받아 이 돈을 어디에 썼느냐라는 것으로 요약된다. 박 전 장관은 특검 수사부터 150억원은 중간에 이익치 전 현대증권 회장이 김영완씨에게 빼돌려 돈세탁을 한 것일뿐 자신과 무관하다는 `배달사고' 주장을 줄곧 고수해오고 있다. 특검팀은 고(故) 정몽헌 현대아산 회장, 김윤규 현대아산 사장, 김재수 전 현대구조조정본부장 등 핵심 관련자들의 진술에 비춰 이 전 회장의 말이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지난 6월말부터 현대 비자금에 손을 댄 검찰은 특검 기록을 바탕으로 사실상 원점부터 재조사를 벌였으며 김영완씨로부터 150억원 전달 및 돈세탁 경위에 대한 진술서를 받아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검찰은 정 회장 등 핵심 참고인들을 상대로 2000년 4월 중순 150억원을 조성,박 전 장관에게 전달한 경위 등을 정밀히 재검토한 끝에 박 전 장관의 `배달사고'주장을 반박할 수 있는 새로운 정황증거를 다수 확보해 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검찰 수사의 초점중 하나는 150억원의 행방을 규명하는 것이다. 검찰은 150억원이 1억원권 양도성 예금증서(CD) 150장 형태로 이익치씨를 통해박 전 장관에게 전달됐지만 4월 초순에 김영완씨가 박 전 장관을 대신해 정 회장에게 150억원을 요구했다는 진술에 주목하고 있다. 김씨가 미리 현금 150억원을 마련, 박 전 장관에게 제공한 후에 정 회장에게 150억원을 요구하고 나중에 박 전 장관이나 이익치씨로부터 CD를 전달받아 사채시장을통해 돈세탁하는 `바꿔치기'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바꿔치기'가 사실이라면 박 전 장관에게 돈이 전달된 시점은 2000년 4.13 총선이전으로 확정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150억원의 실제 행방에도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물론 김씨가 "박 장관이 정상회담 준비 비용이 필요하다"며 정 회장에게 언급한것으로 드러나 이 돈이 북송금 등 정상회담 관련비용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150억원 사용처 추적을 통해 과거 정권 실세들이 연루된 비리 단서가 추가로 포착될 경우 정치권 등에 또한번 파장을 몰고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서울=연합뉴스) 조계창 기자 philli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