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7일 발표한 조직개편안은 지난 5월 1차개편을 통해 시행중인 `5수석 6보좌관 6팀제'의 골격을 유지한 채 19개 비서관의 일부 통폐합과 기능을 재조정한 것이 특징이다. 윤태영(尹太瀛) 대변인은 "총선출마자로 인해 개편요인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라며 "내부 인사를 중심으로 순환보직 및 적재적소 인사 원칙에 따라 단행한 것으로원래부터 외부인사 충원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고 지난 3주간 내부의견 수렴과정도진행돼 그 결과가 반영됐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결과만을 놓고 볼때 민주당은 물론 한나라당의 `대폭 개편' 요구를 전혀수용하지 않은 모양새가 됐고, 순환보직 원칙에 매달렸다고는 하지만 전문성 등을기준으로 한 외부인사 수혈이 거의 없어 논란의 대상이 될 소지도 없지 않다. ◇정책실 전문성 강화 = 김영주(金榮柱) 재경부 차관보가 정책기획비서관으로기용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앞서 청와대는 대통령 국정과제를 챙기는 정책관리비서관에 김성진 전 기획예산처 사회예산심의관을 임명했다. 이들은 모두 권오규(權五奎) 정책수석과 더불어 옛 경제기획원 출신이다. 참여정부 출범초 학자를 비롯한 민간 전문가 위주로 정책실을 구성했으나 지난6개월간 부처간, 청와대 비서실간 협조체제의 틀이 어느 정도 짜여진 만큼 정책 전문성을 갖춘 관료의 영입이 필요했다는 게 청와대측 설명이다. 정책수석 산하에 정책기획조정과 정책상황, 정책관리로 나뉘었던 정책실은 정책상황비서관이 폐지되고 정책기획조정비서관이 정책기획과 정책조정으로 분리돼 결국정책기획, 정책조정, 정책관리비서관 체제로 정리됐다. 특히 정책조정은 조정과제를 발굴하는 한편 정책에 대한 분쟁, 갈등 조정절차를체계화하는 업무를 수행하되 이미 폐지된 정부부처 정책조정업무는 수행하지 않는다는게 원칙이라고 윤 대변인은 전했다. 정책기획은 정책관련 국정운영계획 수립, 국무회의 운영, 부처의 대통령 지시사항 관리를 맡게 되며 정책관리는 국정과제를 비롯, 정무수석실의 지방자치비서관 업무를 넘겨받아 국가균형.지방분권의 정책적 관점에서 이를 다루게 된다. 참여기획비서관이 정무기획비서관으로, 서갑원(徐甲源) 의전비서관과 김현미(金賢美) 국내언론비서관이 각각 정무1, 정무2비서관을 맡게 된 것. 정무1과 정무2는 각기 종래의 여당, 야당 담당에서 국회협력 담당과 이슈관리담당으로 업무가 조정됐다. 정무기획은 국정운영기조 수립업무를 맡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정당에 대한 개입보다는 변화된 정치환경에 맞는 `일하는청와대'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실무형 인사'의 배경을 밝혔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당과의 관계를 너무 소홀히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새로 임명된 비서관중 일부는 총선 출마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업무의 `불안정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정만호(鄭萬昊) 정책상황비서관의 의전비서관 발탁에 대해선 "메시지있는`정책 의전'을 염두에 둔 것으로, 정책역량 강화의 일환"이라고 설명함으로써 의전비서관의 위상과 역할에 관심이 모아진다. 또 지방자치비서관실 업무는 정책실로 넘겨졌다. ◇홍보역량 강화될까 = KBS에서 일한 경력도 있으나 주로 서울경제신문, 한국일보에서 활동한 신문기자 출신의 이병완(李炳浣) 정무팀장이 홍보수석에 기용됨에 따라 일각에서는 방송 위주였다는 청와대 언론정책이 신문과의 형평성을 맞추는 쪽으로 변화하는게 아니냐는 관측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청와대측은 "그런 해석은 언론사의 자유로운 추측일뿐"이라며 반응을 피한 채 이병완 팀장의 기자생활, 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 정책기획비서관, 정무팀장 역임 등의 경력을 들어 "정책, 정무, 홍보업무를 두루 거친 그가 임명됨으로써정책형.대화형 국정홍보가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경희(宋敬熙) 전대변인이 국내언론비서관으로 복귀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의 `오보 대응'이 더욱 강력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없지 않다. 한편 대변인, 국정홍보 및 보도지원비서관을 둔 대변인팀은 대변인+보도지원비서관으로 슬림화했고 미디어홍보와 국정홍보를 일원화하게 됐으며 국정홍보는 주로연설문, 메시지, 인터넷 등 `직접 홍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청와대 브리핑 업무가 홍보기획비서관실로 이관됐고, 해외언론비서관실은 외신담당 기능 및 영문홈페이지 기획, 콘텐츠 생산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국참수석실의 경우 참여기획, 민원제안, 현장모니터, 제도개선1,2비서관 체제에서 현장모니터 기능을 제도1, 2비서관실로 분산, 통합시킴으로써 4개 비서관 체제로몸집이 축소됐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