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재실사과정에서 제기된 외압의혹에 대한 조사결과 명백한 외압증거를 찾기는 어렵다는 쪽으로 가닥이 잡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같은 상황임에도 정부는 "매각을 계속 추진하되 무리하지는 않는다"는방침이어서 매각작업이 순항하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28일 "외압의혹과 관련된 조사가 시작된 뒤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한 두 차례 관계직원을 조사한 후 아직까지 추가조사는 없었다"며 "정황상 문제는 있었지만 명백한 압력이 있었다는 증거는 부족하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사과정에서 실사기관간에 평가가격이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는데 대해 '외압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으나 정부가 매각독려를 할수는 있어도 평가가격을 조작했다는 의혹의 근거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고위관계자도 실사결과를 조작하거나 고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전했다"며 "정부는 조흥은행의 매각작업을 계속 진행하되 무리는 하지않는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덧붙였다. 금융계에서도 청와대 관계자가 조흥은행 노조측과 최근 만난 자리에서 실사과정에서의 외압의혹이나 매각작업중단 등에 대한 뚜렷한 입장을 전달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외압의혹이 증거부족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고 예금보험공사와 신한지주측이 재실사결과를 토대로 가격협상을 벌이고 있음에도 향후 조흥은행의 매각작업전망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예보측이 지난해 말 신한지주측이 제시한 현금가 주당 6천150원에서 올리면 올렸지 내릴 수는 없다는 입장인 반면, 신한지주측은 조흥은행의 신용카드부문 등 잠재부실규모에 대해 현격한 의견차를 보이고 있기때문이다. 아울러 정부내의 불분명한 입장정리도 매각작업진행에 장애가 되고 있다. 매각문제를 담당하는 재정경제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 "매각작업을 계속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하고 있지만 조흥은행 매각문제가 단순히 경제적인 차원을넘어서 정치적.사회적 문제로 비화한 이상 원칙론적인 입장표명에 불과하다는 관측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최근 정부내에서도 조흥은행 매각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를 파악하지 못해 강하게 추진하지 못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며 "일단 매각협상은 계속 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