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전면 재검토 결정으로 이제 일선 학교는 학교종합정보시스템(CS)이나 단독컴퓨터(SA), 수기 등 NEIS 이전 체제로 돌아가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일선 학교에서는 이 결정을 사실상 전교조가 주장해온 CS 복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정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CS 복귀 불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가 CS 복귀 시 8천400억∼2조2천억원의 추가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것은 차치하더라도 당장 학교현장에서 NEIS에 입력된 고2 이하 수백만 학생의 자료를 CS로 다시 옮겨야 하는 등 기술적인 문제와 시간, 인력문제가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우선 NEIS 자료를 CS나 SA로 옮길 수 있는 프로그램(역컨버젼프로그램)이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아 지금 상태로는 NEIS로 자료를 하나하나 출력해 이를 CS로 다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시간과 단순노동이 필요하다.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하더라도 프로그램 검증을 거쳐야 하고 이관된 자료에 대한 점검은 물론 누락된 자료를 정리하고 입력하는데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고교 2학년의 경우 학사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CS 프로그램이 없는 상태이며 이를 개발하는 데에는 최소한 6개월이 소요돼 고교 2학년의 학사업무 처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게다가 CS나 SA에 자료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를 담임교사가 처리해야 하는데 담임교사가 전근했을 경우 학기중에는 이를 맡을 인력이 없어 업무진행이 거의 이뤄지기 힘든 실정이다. 또 NEIS의 자료를 다시 이관하기 위해서는 일단 CS나 SA의 기존 자료들을 모두 지워야 하는데 학교에는 이를 다룰 만한 전문지식이 있는 교사도 없는 형편이다. 전국정보화담당교사협의회 김형운 교사는 "NEIS로 옮겨 가면서 자료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졌는데 이를 다시 CS 같은 불안정시스템으로 옮길 경우 신뢰도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CS가 학교에서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CS를 관리하는 정보화담당교사들의 협조가 필수적인데 정보화 담당교사들은 정부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2천명 이상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정보화 담당교사들의 인터넷 모임에서는 CS 업무 거부는 물론 CS로 회귀할 경우 정보부장 보직을 사퇴하기로 하는 등 이들의 반발이 심상치 않다. 이들은 현재 일선 학교에서 NEIS 이관업무는 물론 과거 CS 운영까지 모두 담당했던 교사들이어서 이들이 업무를 거부할 경우 CS는 사실상 운영되기 힘든 상황이다. 전국정보화담당교사협의회는 정부결정이 발표된 26일 교육부를 방문하고 결정재고와 NEIS 강행의지를 밝힌 바 있다. 전국 시,도교육감들이 교육부의 결정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교장단이 이들의 뜻을 따르겠다고 한 것도 CS가 운영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교육감들이 NEIS를 강행할 경우 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계속 NEIS 자료입력을 요구할 것이고 교장은 여기에 따를 것으로 예상되나 CS로 학사업무를 바꾼 학교나 전교조 교사들이 많은 학교는 교육청과 전교조간, 교장과 전교조 교사간의 충돌이 끊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D고 교장은 27일 "교육부의 무책임한 결정은 정책부서에서 벌어졌던 NEIS 갈등을 일선 학교에까지 번지게 했다"며 "교육청 지침은 어떻게 막아 본다고 하지만 교사끼리 다투는 상황까지 올까봐 학생보기가 정말 두렵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bett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