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송금 의혹사건을 수사중인 송두환 특별검사팀이 6일 공개한 미국 의회조사국 보고서에는 `북송금'과 관련된 민감한 내용들이 언급돼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래리 닉쉬 미 의회조사국 선임연구원이 한미관계를 주제로 작성한 이른바 `닉쉬 보고서'는 작년 9월25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엄호성 한나라당 의원이 처음 대북송금 의혹을 제기할 당시 인용해 관심을 모았다. 당시 엄 의원은 "2002년 3월25일자 닉쉬 보고서에서 현대가 지금까지 금강산 관광 대가로 지급한 4억달러 외에 비밀리에 4억 달러를 웃돈으로 줬으며 이 돈이 군사비로 전용됐을지 모른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밝혔던 것. 이 보고서는 의회 조사국이 행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자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미국 의회의 정책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특검팀이 공개한 보고서는 올해 3월17일자로 업데이트된 것으로 북핵문제, 탈북자 문제, 식량난 등 북한관련 10개 주제에 대해 상술하고 있는데 특히 `햇볕정책에 대한 북한의 반응'에 대해 언급한 부분 등이 눈길을 끈다. 특히 `북송금' 주체가 현대냐 정부냐는 문제에 대해 이 보고서는 정부가 현대측이 송금한 돈에 대해 상당부분 보상해 줬다는 `의혹'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현대가 북한에 5억달러에 이르는 비밀 지출을 했으며 그 돈은 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직전에 넘어갔고, 정부는 현대에 (그 돈의) 상당부분을 변제했다는 사실을 현대와 김대중 정부는 올초 인정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2월14일 청와대에서 대북송금 의혹을 해명할 당시 임동원 전 청와대 외교안보통일 특보는 "현대측에서 대북 7대 경협사업 대가로 5억달러를 지불키로 했으며 이는 민간기업의 자체적인 판단에 따른 상업적 거래였을 뿐"이라고 말했으며 정부가 현대에 보상했다는 부분은 전혀 언급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이 보고서가 `인정했다'고 언급한 부분이 자체적으로 파악한 것인지 아니면 청와대측이 해명당시 밝히지 않은 부분을 실수로 포함시킨 것인지를 두고 논란을 빚을 전망이다. 한편 특검팀은 이 보고서를 공개한 이유와 관련해 "닉쉬 보고서는 일각에서 제기한 대북송금액 5억달러+α에서 α의 실체를 전혀 실증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려주기 위해서였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