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종금 로비의혹' 사건에 연루된 핵심 인물인 안희정, 염동연씨가 28일 대검 중수부 수사팀이 있는 서울지검 서부지청에 차례로 출두, 검찰 수사가 중대 분수령을 맞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측근인 안씨와 염씨를 상대로 한 검찰 수사의 핵심은 이들이 김호준 전 보성그룹 회장에게서 받은 2억5천만원의 대가성 여부를 밝히는 것. 안.염씨는 그간 언론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김 전 회장에게서 돈을 받은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모두 대가성을 부인했으며, 이날 검찰에 출석해서도 같은 취지의 진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회장도 20여일간 계속된 검찰 조사과정에서 안씨에게는 `투자금'으로, 염씨에게는 `생활비'조로 돈을 줬다는 취지의 진술을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 검찰은 이런 주장과 진술의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안, 염씨 관련 10여개 계좌에 대한 추적작업과 함께 광범위한 주변 인물 소환조사 등을 병행해왔다. 검찰은 이번 소환조사에 즈음해 "어떤 결론을 내려놓고 하는 수사는 아닌 만큼 안, 염씨에 대한 사법처리 여부에 대해 예단하지 말아달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다. 그러나 검찰은 "소환 시점에서 `피내사자'이지만 조사과정에서 혐의 사실이 드러나면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언급, 안, 염씨에 대한 사법처리 여지는 남겨두고 있다. 안씨가 받은 2억원이 생수회사 운영자금이 아닌 다른 용도로 쓰인 것이 입증되거나 염씨가 수수한 5천만원에 어떤 대가성이 있다는 점이 인정되면 사법처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재수사는 금명간 이들에 대한 사법처리가 매듭지어지면 주요 전현직 정치인 및 고위 관료 등을 겨냥, 다시 급물살을 타게 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그간 기회가 있을때마다 "다소 시일이 걸리더라도 언론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강조했으며, 지난 주에는 "주요 인물의 추가 소환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 거물급 정치인 등의 주중 소환을 예고한 바 있다. 추가 소환 대상자로 거명되는 사람은 민주당 P의원, 서울시 고위직을 지낸 K씨, 전직 장관 K씨 등 3-4명이나 검찰의 재수사 과정에서 새로운 위법 사실이 드러난 `제3의 인물'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안, 염씨가 수수한 돈이 정치권 등으로 흘러들어갔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검찰 수사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도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고웅석 기자 freem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