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별장인 청남대가 22일부터 일반에 개방되면서 이 일대(충북 청원군 문의면)의 관광.리조트개발 붐이 예고되고 있다. 지난 83년 청남대가 들어선 이래 20여년간 개발 족쇄가 채워져 있었던 관계로 주민들의 개발수요가 쌓여 있어 충청북도와 청원군은 개발청사진을 마련하고 투자유치에 나서는 등 기대에 부풀어 있다. 대청호의 담수가 시작된 지난 80년 착공, 3년 만에 완공된 청남대는 본관 등 시설면적 3만평을 포함해 전체 부지면적이 55만평에 달한다. 대통령 숙소인 2층(6백평)짜리 본관과 경호원 숙소 등 부속건물, 양어장과 6홀 골프장을 갖춘 잔디광장이 있는 청남대는 특히 우거진 숲과 대청호가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을 갖추고 있다. 509번 지방도에서 갈라져 들어오는 12㎞의 진입로도 경치가 장관이다. 충북도와 청원군은 대통령 별장이라는 상징성과 대청호 주변 관광자원을 함께 갖춘 청남대 일대를 종합레저 관광단지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54만㎡에 이르는 청남대 경호구역을 대통령 기념공원과 생태학습장으로 꾸미고 인근 문의문화재단지, 양성산, 작두산 등을 묶어 테마공원으로 건설한다는 기본계획을 세웠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청남대 본관지역을 상징테마 공간 △본관 주변지역을 자연생태보존 구역 △진입로는 휴식.산책 공간 △문의면 소재지는 휴양위락 집적단지로 각각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청남대 주변에 대통령 기념공원과 수변산책로 및 생태학습장을 만들고 왕실마차를 타고 관광을 즐기거나 대통령이 즐기던 음식과 전통 궁중음식을 맛볼 수 있는 궁중음식촌을 조성할 계획이다. 오효진 청원군수는 "청남대 반환에 맞춰 이 일대에 대한 환경규제가 완화돼 개발에 탄력을 받게 됐다"며 "주택이나 상가 신증축은 물론 그동안 들어서지 못했던 음식점 등의 증축 또는 용도변경이 가능해져 지역경제에 활력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청남대활용대책위원회 김영호 위원장(충북 행정부지사)은 "개발계획은 크게 대통령 별장이라는 상징성 활용과 관광명소화 두가지로 구분된다"며 "관광명소화는 청남대가 들어서면서 꿈을 포기해야 했던 주민들의 숙원을 반영, 지역이익을 극대화한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고 국빈을 모시는 영빈관으로 사용됐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이곳에 관련 역사 유물을 모아 애국공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령 별장이라는 매력과 수려한 자연경관을 갖추고 있어 발전 잠재력이 뛰어난 반면 문의면 대부분 지역이 금강수계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어 '개발과 환경보전'이 타협점을 찾아야 하는 힘든 과제를 안고 있다. 국무회의에서는 이날 이 일대 개발을 돕기 위해 대청호 상류지역 98만2천여㎡를 환경정비구역으로 규제를 완화했으나 일부 지역이 상수도보호구역으로 여전히 남아 있어 대형 유람선 운항 등은 힘든 실정이다. 또 충북도는 국유지인 청남대 일대를 무상으로 넘겨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지만 재정경제부는 매각방침이어서 갈등이 일고 있다. 청원=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