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3개월 때 납치된 이후 성인이 되고 나서야 친부모를 찾게 된 청년의 사연이 알려져 화제다. 이 청년의 부모는 건설회사를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북부 허베이성 싱타이 출신 시에 칭슈아는 생후 3개월에 불과했던 1999년 1월 납치됐다. 납취 전후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다. 칭슈아의 부모는 잃어버린 아들을 찾기 위해 100만위안, 우리 돈으로 약 1억8000만원에 이르는 비용을 썼다. 결국 지난해 12월 칭슈아는 친부모와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칭슈아의 부모는 건설회사를 운영하는 자산가였다. 칭슈아는 고아 청년에서 순식간에 '금수저'가 됐다. 칭슈아의 아버지는 아파트 3채와 자가용을 증여하려고 했다. 하지만 칭슈아는 선물을 거절했다. 그는 "갑자기 그렇게 많은 재산을 받으면 내 사고방식이 바뀌어 경제관념이 망가질까봐 두려웠다"고 털어놨다.청슈아는 아내와 함께 살 아파트 한 채면 충분하다면서 끝내 선물을 받지 않았다. 칭슈아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 사업을 벌이고 있다. 최근 시청자 약 2000만명을 끌어모았고 5000만위안에 이르는 매출을 올렸다. 청슈아는 방송으로 번 수익으로 가족을 부양하고 기부를 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동생 앤드루 왕자가 중국 측 스파이로 의심되는 남성과 가깝게 지낸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 등에 따르면 앤드루 왕자는 중국 스파이 의심인물로 지목된 50세 남성과 가까운 친구로 지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고 전했다. 이 남성은 데이비드 캐머런 전 총리, 테리사 메이 전 총리 등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H6'이라는 가명으로 알려진 이 남성은 영국 전직 총리들과 함께 촬영한 사진을 자신의 런던 사무실 책상에 보관하고 있었다. 이들 두 전직 총리는 수많은 사람을 만나 사진을 찍는 만큼 이 남성이 기억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영국 국내정보국(MI5)은 해당 남성이 중국 공산당원으로 당내 중앙통일전선공작부를 위해 일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다만, 이 남성은 이 같은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는 중이다. 런던의 중국 대사관도 관련 의혹을 일축했다. 영국의 또 다른 매체는 MI5가 앤드루 왕자에게 들어간 중국 측 자금을 조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 매체는 찰스 국왕이 MI5의 보고를 받은 뒤 "분노했다"고 전했다.해당 남성은 영국 내무장관을 상대로 입국 금지 처분을 취소해 달라는 취지의 소송을 제기했지만 이달 12일(현지시간) 패소했다. 앤드루 왕자는 고(故)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차남으로 영국에선 사고뭉치 이미지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미국 억만장자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과 가까이 지내다 성 추문에 연루됐고 이후 모든 왕실 업무에서 배제됐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 업무 등 특수 임무를 맡는 대사에 리처드 그레넬 전 주독일 대사를 지명했다. 그레넬 전 대사는 트럼프의 '외교 책사'로 꼽히는 인물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14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리처드 그레넬을 특별 임무를 위한 대통령 사절로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그는 "릭(리처드의 약칭)은 베네수엘라와 북한을 포함한 전 세계 가장 뜨거운 일부 영역을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그레넬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주독일 대사를 지냈다. 또 국가정보국(DNI) 국장 대행을 맡기도 했다. 그레넬 전 대사는 선거운동 당시 트럼프 2기 행정부 외교 방향과 관련해 "누가 그 나라 정상인지는 그(트럼프)에게 중요하지 않으며 그는 미국을 위해 관여(외교)를 하고 투쟁한다"며 "우리는 위대한 양자관계를 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트럼프 당선인이 대통령 재임 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차례 만난 것과 관련해선 "김정은을 승인한 것이 아니라 김정은이 이웃을 위협하고 있고 미국의 이익을 위협하고 있다는 현실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고 설명했다.이어 "나는 트럼프가 그 사람(김정은)과 관여했다는 사실을 사랑했다"고 언급했다. 이는 선거운동 당시 트럼프 당선인이 북한과 정상외교를 다시 추진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되기도 했다.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