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매집을 통해 SK(주)의 1대주주(지분율 14.99%)가 된 크레스트 시큐리티스측의 소버린자산운용이 이 회사에 대해 사업계획 재조정과 지배구조 개혁을 요구하고 나서 파문이 예상된다.


SK그룹은 소버린의 이같은 요구에 대응,SK텔레콤등 계열사의 경영권 방어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크레스트 시큐리티스의 모기업인 모나코 소재 소버린은 14일 홍보대행사를 통해 배포한 "SK(주) 투자에 대한 입장"이란 보도자료를 통해 자신들의 목표는 SK(주)의 주주가치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소버린은 이를 위해 SK(주)가 풍부한 자산으로부터 보다 높은 수익을 끌어낼 수있도록 이 회사 경영진과 함께 사업계획 재조정과 현실적이고 즉각적인 지배구조 개혁 작업을 진행시키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소버린은 그러나 사업계획 재조정및 재배구조 변경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우리가 관심을 두는 것은 인물(personalities)이 아닌 원칙(principles)이며 주주이익을 대표하는 이사회와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국제적 원칙의 준수만이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힘이 될 것이라는 점을 SK(주)의 경영진이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버린은 "SK가 할인된(at a discount) 상태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오는 수익성 없는 방만한 투자와 최근의 SK글로벌의 분식회계 사태 때문"이라며 "우리의 목표는 SK를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모델기업으로 탈바꿈시키고 주주가치를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버린의 이같은 입장표명에 대해 증권업계는 이사 파견 등 새로운 경영진 구성을 추진하고 SK텔레콤 주식 등 SK(주)가 보유한 자산의 매각을 추진할 수도 있다는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부가 "크레스트가 만약 15%이상 지분을 취득한다면 SK 는 전기통신사업법상 외국인으로 간주된다"고 밝혀 SK(주)는 소버린의 요구를 거절하기 쉽지않을 전망이다.


SK 가 외국인으로 간주되면 SK텔레콤의 외국인 지분율은 총 60.95%로 높아져전기통신사업법상 외국인 한도(49%)를 초과는 12%정도에 대해 SK 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소버린의 이같은 주장에 대해 SK(주)는 15일 공식 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SK(주)관계자는 이와관련해 "회사 경영과 기업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 소버린의 정당한 요구는 적극 수용하되 일방적인 계열사 지분매각 등과 같은 무리한 요구를 해올 경우엔 적극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민하 기자 hahaha@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