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열린 국민은행[60000] 주주총회에서는 작년경영실적 부진을 놓고 `국민카드[31150] 책임론'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다. 김정태 국민은행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본점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한 주주가카드사업 처리방향을 묻자, "만약 이 자리에 카드회사 사람들이 나와있다면 주주들앞에서 죽을 죄를 졌다고 반성해야 하며 카드부실에 대한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고지적했다. 국민카드는 국민은행 자회사로 지난해 2천60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내 모회사인국민은행에 1천938억원의 지분법 평가손실을 입혔으며 최근 국민은행은 자체 카드사업부와 함께 국민카드 처리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김 행장은 "(국민카드가)작년초 6천억원의 이익을 내겠다고 하더니 결국 3천억원이 넘는 적자를 냈을 뿐만 아니라 올들어서도 매달 1천억원씩의 적자를 기록하고있다"며 "그 높은 연체율로 얼마나 많은 국민과 주주들이 피해를 보았느냐"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그는 이어 "카드사 직원들은 국민카드가 어떻게 처리될 것인지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모든 책임을 지고 회사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필요하다면월급도 반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행장이 이처럼 공개적으로 자회사인 국민카드의 책임론을 지목하고 나서자,국민카드 직원으로 보이는 한 주주는 "실적부진이 국민카드만의 잘못이라기 보다는정부 신용카드 정책의 잘못과 경쟁이 심화된 카드시장 구조에 있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국민은행이 자체 카드사업부의 연체율을 일반에 공개하고 있지 않다며 즉석에서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 행장은 "국민은행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감사와 법률검토를 거쳐연체율을 분기말에 공시하고 있는 만큼 나중에 적당한 시점에 공개할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김 행장은 또 이 주주가 국민은행이 인원감축 등 비용절감 노력이 미흡하다는지적을 내놓자 "직원들의 목을 치는 비용절감은 하지 않을 것이며 가급적 인원감축을 최소화하면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데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