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차관급인사의 특징은 공무원 내부의 대거 승진으로 2.27 조각의 '파격인사'를 보완하고 공직사회의 안정성을 도모하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차관급 인사에서 대부분 현직관료들이 기용되면서 앞서 노무현 대통형이 강조해온 '개혁 장관-안정 차관' 원칙이 지켜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행시 기수 등 기존의 연공서열식 인사관행이 깨진 흔적이 곳곳에서 보인다. 일부 외청장을 중심으로 경영마인드를 갖춘 인사들이 대거 발탁된 것이 그 예다. 이때문에 앞으로 1급 승진 등 후속인사에서는 연공서열 위주의 인사관행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찬용 청와대 인사보좌관은 3일 "개혁성 인물을 대거 발탁하고 각 부처의 기획관리실장 등 주요 보직자를 승진기용해 공직사회의 활력을 도모하는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각 부처에서는 8명의 기획관리실장이 승진돼 주목을 끌었다. 경력 등에서 상호보완이 가능할 경우 장.차관의 출신지역을 고려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기획예산처와 해양수산부는 장.차관 모두 경남 출신이다. 개혁성이 고려됐다지만 차관들이 '안정형'에 좀 더 가깝게 진용을 갖춘 것은 고건 총리와 일부 부처 장관들의 강력한 희망이 반영됐기 때문. 재정경제부의 경우 당초 청와대의 젊은 참모들은 공직사회의 대대적인 물갈이를 염두에 두고 행시 17회인 김영주 차관보를 강력히 밀었다. 그러나 김진표 경제부총리가 거대야당인 한나라당과의 관계를 고려해 김광림 차관(14회)을 원해 뜻을 관철시켰던 것으로 파악됐다. 결과적으로 안정과 개혁성을 함께 감안한 '절충형 발탁인사'가 됐다. 이번 인사는 정 인사보좌관 주관으로 추천이 이루어졌고, 추천된 후보에 대한 검증작업은 문재인 민정수석 쪽에서 담당했다. 정 보좌관은 "중앙인사위의 인사자료를 기본으로 각 부처 신임장관을 통해 우수 인재를 추천받았으며, 새로 임용될 부처와 이전부처의 여론조사와 (후보) 평가회의를 거쳐 적격성을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나름대로 객관적 평가와 검증 시스템을 거쳤다는 얘기다. 추천이 인사보좌관으로 단일화되는 이같은 인사 방식은 앞으로 더욱 확고해질 전망이다. 한편 이날 발표된 차관급 34명중 60대와 40대가 각각 2명씩이며 나머지 30명이 50대다. 평균 54.5세로 장관급과 같다. 서울대 출신이 11명으로 가장 많지만 영남대 3명 등 지방대 출신도 7명이다. 지방대 출신의 약진은 노 대통령의 '지방분권 및 국가균형발전'과 맥이 닿는다. 장관급은 3분의 2가 서울대 출신이다. 행시일변도에서 벗어난 인물도 많아 기술고시와 특채 출신이 3명 포함됐다. 행시 출신 역시 10회부터 24회까지로 다양하다. 출신지역도 영남 12명 호남 10명으로 외형상 균형이 유지됐다. 청문회 대상인 국세청장과 경찰청장은 특히 지역이 고려됐다는게 정 보좌관의 설명이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