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측은 전국적인 자연재해 등 국가적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정부 부처의 대책과 군.경 동원 등을 총괄 지휘.감독하도록 재난 대응체제를 일원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 당선자측의 한 핵심관계자는 10일 "현재 정부에서 준비중인 전국 상황 점검기기 설치가 완료되면 앞으로는 NSC에서 재난관리를 총괄지휘하게 될 것"이라며 "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을 장관급으로 하고 종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맡던 NSC 상임위 사무처장을 겸직하게 한 것도 국가안보의 중요성과 함께 이같은 재난관리.대응기능 확대를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NSC 사무처 인력이 10여명 밖에 안되나 미국은 200명"이라며 사무처 인력 확충 방침도 밝혔다. 그는 또 "청와대 민정수석실내에 감찰기능을 확대, 청와대 고위직 및 대통령 친인척에 대한 감시.관리를 크게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노 당선자의 인사 원칙과 관련, 그는 "문재인 민정수석 및 정찬용 인사보좌관 내정자는 모두 노 당선자가 신뢰하는 분들이나 영.호남 출신으로 나누고 각각 인사검증과 추천 기능을 분리해 맡도록 한 것은 권한집중을 막겠다는 뜻"이라며 "이런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남은 청와대 비서실 인선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새 청와대 비서실은 대변인 외에 북한 핵문제 등 현안을 숙지하면서 영어에 능통한 외신담당 개념의 부대변인을 포함 1,2명의 부대변인도 둘 예정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기자 k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