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운하 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사실상 백지화될 처지에 놓였다. 경인운하는 지난 87년 대선에서 노태우 후보 공약에 포함돼 처음 거론됐으며 이후 1995년 당시 재정경제원에 의해 민자유치 대상 사업으로 지정되면서 건설 계획이 본격화됐다. 인천 서구 시천동(서해)에서 한강을 따라 서울 강서구 개화동 행주대교에 이르는 18㎞ 구간을 폭 100m, 깊이 6m의 수로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당초 2000년 10월 착공해 2004년 1단계 사업을 끝낸 뒤 2007년 완공될 예정이었다. 사업비는 총 1조8천429억원으로, 이중 정부가 4천382억원을 지원하고 민간에서 나머지를 조달할 방침이었다. 사업은 한국수자원공사와 현대건설 등 9개 출자사로 구성된 경인운하주식회사가 맡고 있다. 건설교통부 등은 경인운하를 건설할 경우 ▲인천.부천.서울 등 굴포천유역의 상습 홍수피해를 막을 수 있고 ▲인천항의 만성 체선을 줄이고 수도권 신규 항만 화물수요를 흡수할 수 있으며 ▲운하라는 저렴한 수송로를 제공함으로써 미국과 일본 등선진국의 2배 수준인 물류비를 대폭 절감,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은 경인운하를 건설하면 인천 연근해 오염이 가중되고 어장을 황폐화시킬 것이라고 계속 주장해왔다. 한강 본류 및 쓰레기 매립지의 오염물질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로 생태환경이 열악해지고 운하 이용시 오염수 유입에 따른 심각한 적조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홍수시 운하 퇴적물이 일시에 바다로 유입돼 어장이 황폐화될 수 있다는 것. 이런 가운데 지난해 6월25일 경인운하 사업의 일부인 굴포천유역 임시 방수로가 완공돼 개통됐다. 굴포천 방수로는 인천 계양구 선주지동(굴포천)에서 서구 시천동(서해) 구간에 폭 20m, 깊이 20m, 길이 14.2㎞의 배수로를 건설하는 것. 굴포천 유역은 150만명이 거주하는 서울 강서구, 인천 계양.부평구, 경기 부천.김포시 부천시 일대로 한강 홍수수위 이하의 저지대가 전체 면적의 40%에 달하는 상황이어서 방수로로 홍수량의 50%가 서해로 직접 방류되면 홍수 피해를 크게 줄일 수있을 것으로 건교부는 기대했다. 이 공사 역시 경인운하㈜가 맡았으며 사업비 1천113억원은 전액 민자로 조달됐다. 이에 따라 경인운하 건설사업은 사실상 백지화되고 폭 20m로 건설된 굴포천 임시 방수로를 80m로 확장하는 사업만 남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keykey@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