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자인 오웅진 신부의 자금 횡령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충북 음성 꽃동네는 방대한 시설 만큼이나 정부와 자치단체 지원금이 막대하지만 자금 집행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행정기관의 회계 감사는 제대로 이뤄지지않고 있다. 노약자.아동.장애인.정신질환자와 알코올중독자, 부랑인 등 2천200여명을 수용하고 있는 꽃동네에 지난해 지원된 지원금은 75억원. 국비가 53억4천여만원으로 가장 많고 도비 16억1천만원, 군비 5억7천만원 등이다. 현행 사회복지사업법상 국고 지원 시설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와 자치단체가 지도.감독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지도.감독 내용에는 시설 운영 실태 및 점검은 물론국고 보조금 사용 내역도 포함돼 있다. 답지되는 후원금에 대해서도 보건복지부령에 따라 영수증 교부나 수입 및 사용결과 보고 등을 통해 수입.지출 내용과 관리를 명확히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 사회복지시설 지원금으로는 천문학적 숫자인 70억원대가 해마다 지원되는 꽃동네에 대해 그동안 행정 당국은 제대로 된 회계 감사를 한 번도 실시한적이 없었다. 꽃동네가 국고 지원금 사용 내역을 정산, 보고하면 서류상의 계수가 일치하는지 정도를 음성군이 파악해 온 것이 고작이었다. 그동안 꽃동네 자금 집행에 대한 의혹이 수차례 제기되고 여론화되기도 했지만이를 명쾌하게 해소하기 위한 행정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종교단체가 운영하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행정기관의 관대함도 작용했겠지만설립자인 오 신부의 든든한 정치적 배경(?)이 무엇보다 부담스러웠다는 것이 지방공무원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전직 대통령을 비롯 중앙 정치권 실력자들이 오 신부와 개인적 친분이 있거나꽃동네를 적극 후원해왔고 80여만명이 넘는 후원자와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 2천200여명의 시설 수용자 등을 확보, 정치권이나 중앙 부처조차 부담스러워하는 꽃동네에대해 지방 자치단체가 정면으로 맞서는 것은 상상조차 하기 힘들었다는 것이다. 1998년 꽃동네의 방만한 자금 집행 등 시설 운영에 대한 문제가 불거지자 충북도에 대한 국정감사에 나섰던 국회 의원들이 오 신부를 국정감사장에 불러 세워 의혹을 추궁하겠다고 나섰다가 오히려 앞다퉈 오 신부의 `노고'만 추켜세우는 진풍경이 연출될 만큼 오 신부의 정치적 영향력은 막강하게 비쳐졌다. 꽃동네와 관련된 각종 의혹들이 해소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됐던 당시 국정감사는 충북에서 오 신부의 `정치적 위상'만 공고하게 해준 셈이 됐다. 지방자치제의 본격 도입 이후 꽃동네가 몰표 지원 등으로 선거에 개입한다는 말이 돌면서 오히려 자치단체나 출마 예정자들이 꽃동네의 눈치를 살피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한 공무원은 "시설 운영 신고 서류가 미비해 보완을 요구했더니 꽃동네 관계자가 `현직 자치단체장이 다음 선거에 나오지 않을 셈이냐'고 오히려 겁을 줬다는 얘기도 있었고 꽃동네에 맞섰던 공무원이 결국 옷을 벗었다는 말도 돌면서 공무원들은꽃동네에 관심끊는 것이 상책으로 여기고 있다"고 귀띔했다. 지도.감독해야 할 행정 당국이 오히려 사회복지시설의 눈치를 보는 왜곡된 구조로 인해 언제든 부조리가 발생할 개연성을 안고 있었다는 것이 공무원들의 한결같은지적이다. (음성=연합뉴스) 박종국기자 pj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