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동결 해제를 선언함에 따라 국내 증시에 '국가리스크' 악재가 재부각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졌다. 증시전문가들은 12일 북 핵동결 이후의 미국과 북한의 대결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핵동결 해제라는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모른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통계적으로 북한과의 긴장관계에서 비롯되는 국가리스크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었지만 '햇볕정책'을 추진해온 현 정부가 집권말기인 상황을 고려하면 핵동결 해제는 증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의 핵동결해제 이전에도 제네바 합의가 사실상 지켜지지 않았고 북한과 미국이 정면대결 양상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단기악재로 그칠 수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증권 이상재 이코노미스트는 "북한이 핵동결 해제를 공식화함에 따라 안정된 관계를 유지해온 남북관계가 흔들릴 수 있다"며 "이는 증시에 국가리스크를 부각시켜 외국인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LG경제연구원 김기승 연구원은 "소비.설비투자가 얼어붙어 있는데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증시의 불안요소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LG투자증권 황창중 투자전략팀장은 "북한 핵동결 해제가 단기악재임에는 틀림없다"며 "그러나 북한과의 긴장관계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제한적이었던만큼 향후 미국과 북한의 대결상황이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