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 불황으로 실적 개선 가능성이 낮고 보유 현금까지 거의 소진된 기업이 앞으로 가장 주의해야 할 투자기피 대상 1순위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이 마련한 '코스닥 퇴출기준 강화방안'에 따라 처음으로 실적 부진기업이 퇴출대상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장기간 실적이 나쁜 부실기업에 대한 퇴출이 공식화되면서 이제 부실기업의 주가를 억지로 끌어올리는 등의 작전세력들의 '작업'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 '실적'이 퇴출기준 =이번 코스닥 퇴출 강화방안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대목은 '실적 부진기업의 퇴출'. 내년부터 영업손실과 경영이익 적자가 동시에 발생하면서 부채비율이 동종업계 평균의 3배를 넘으면 바로 관리종목으로 편입된다. 이같은 상태가 1년 더 지속되면 퇴출이다. 코스닥위원회 최규준 코스닥관리부장은 "미국 나스닥시장의 상장유지요건과 비슷한 것으로 실적이 퇴출기준이 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 규정이 도입된 것은 실적 부진업체가 계속 시장에 남아 있는게 코스닥 신뢰도를 떨어뜨린 주요 요인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최 부장은 설명했다. 특히 주가가 낮거나 자본이 잠식된 기업이 감자 및 출자전환 등의 편법을 통해 퇴출을 계속 피해 나가고 있는 점도 '실적' 기준을 도입한 배경이라는 지적이다. ◆ 실적부진 업종과 투자유의점 =코스닥증권시장에 따르면 올들어 3.4분기까지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이 모두 적자인 기업은 2백5개사에 달한다. 이중 경상손실이 큰 상위 30개사의 경우 통신장비 및 솔루션 업체가 절반을 넘어서고 있다. 벤처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창투사도 대거 여기에 속해 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통신장비의 경우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업황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화증권 민상일 선임연구원은 "영업적자가 지속되는 건 업황이 나쁘거나 기술 및 영업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고 경상손실이 나는 것은 현금 등 보유자산마저 많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같은 적자가 계속되는 것은 기업 영속성이 의문시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투자대상에서 일단 배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