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2005년 사이 시청과 광화문, 숭례문 앞등 도심 곳곳에 광장이 들어서고 청계천 복원이 완료되는 등 서울 도심이 걷고 싶은시민들의 공간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또 주택가에 생활권 녹지 100만평을 확충하고 동마다 공원 1개씩 설치, 주거환경이 한층 쾌적해진다. 서울시가 28일 발표한 시정 4개년(2002∼2006년) 계획에 따르면 시는 1단계로 2003년말까지 시청 앞에 1만4천㎡(4천200평) 규모의 시민광장을 조성하는데 이어 2단계로 2005년까지 광화문과 숭례문 주변에 광장을 설치하는 한편, 시청앞 광장의 지하공간에 대한 활용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광화문 앞 시민광장은 차로폭을 축소하고 기존 광장의 일부를 미관 광장으로 재조성, 중심부로서의 상징성을 높이고 국보 1호인 숭례문 주변에는 휴식공간 및 횡단로를 설치,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지난 월드컵때 온 국민의 뜨거운 함성의 장소였던 시청 앞 광장 등은시민의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활용되며 주변의 역사문화 공간과 연계해 걷기에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으로 꾸며진다. 이와 함께 시는 4대문안 역사문화.관광자원을 근대문화중심(덕수궁.정동.역사박물관) 전통문화중심(경복궁.북촌.인사동) 젊음의 거리(대학로 일대) 역사.환경의 회복(청계천 복원구간) 쇼핑.관광 중심(명동.남대문) 등 5대 관광거점으로 구분, 문화관광벨트로 조성키로 했다. 시는 도심 광장과 도심 문화관광벨트를 연계, 도보관광코스를 개발하는 한편 매년 5∼6월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서울국제축제'를 만들어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브랜드로 키워나가기로 했다. 이와 아울러 청계천 복원 사업도 2005년께 완료, 시민들에게 도심속의 친환경적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광교와 수표교 등 유적과 연계해 관광자원화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서울 도심이 자동차 중심의 거리에서 보행자 중심의 거리로 탈바꿈하고 인근 문화관광벨트 및 복원되는 청계천과 연계, 시민들이 마음껏 즐길 수 있는인간 중심, 환경 중심의 명소로 자리잡게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주택가 등에 생활권 녹지 100만평을 늘리고 동마다 공원 1개씩(2006년까지 20곳)을 조성하는 한편 장애인 등 시민들이 쉽게 한강을 찾을 수 있도록 한강 진입로를 현재 133곳에서 149곳으로 늘려 접근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청계천복원을 통해 동서 청계천녹지축이 연결되고 남부순환도로 등으로 단절된 녹지축이 이어지는 동시에 2006년까지 일제에 의해 끊긴 창경궁에서 종묘간의 녹지축에 생태통로(1만5천㎡)가 조성된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