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원 대통령외교안보통일특보는 경의선 철도 및도로 연결, 개성공단 조성, 금강산 특구화 및 육로연결, DMZ 평화적 이용, 이산가족재회 등 대북 5개 중점사업은 차기 정부에서도 계속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특보는 이날 서울 힐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초청 조찬간담회에 참석, `남북관계 현황과 정책방향'에 대해 강연하면서 북한의 점진적인 개방과 체제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음 정부에서도 북한과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 핵 특별사찰, 2003년 시한인 경수로 건설 연기에 따른 배상 마찰,2003년까지 연기한 북한의 미사일 개발 문제 등 한반도를 둘러싼 여러가지 난기류로`2003년 한반도 위기론'이 확산됨에 따라 남북간 `평화구축'(Peace Making)을 위해지난번 북한을 방문했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반테러와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를 연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미사일 문제를 놓고 위기가 증폭될 우려가 높다고 덧붙였다. 그는 노태우 대통령 시절의 대북 포용정책 이후 남북간에는 남북기본합의서를비롯, 평화정착과 통일을 위한 합의와 약속이 이뤄져 왔으며 이제는 실천만이 남았다면서 북한은 시간과 기회를 놓치지 말고 평화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북한에 대해 미국과의 관계가 풀리면 남북문제는 저절로 해결될 것이라는 식의 `선미 후남'(先美 後南) 의식을 버리고 먼저 한반도의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는 `선남 후미'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임 특보는 개성공단 건설에 대비해 도라산역 일대를 자유무역지대로 지정하는 게 어떻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신삼호기자 ssh@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