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소련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참사 발생 16주년을 맞아 26일 원전의 안전문제를 놓고 시민단체와 원자력문화재단이 열띤 공방을 벌였다. 먼저 포문을 연 쪽은 녹색연합, 환경운동연합 등이 조직한 한국반핵운동연대. 반핵운동연대는 이날 성명서를 발표하고 "체르노빌 사고 이후 러시아에서 1만5천명의 복구작업 참여자가 방사능 때문에 사망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분야 종사자 12명이 방사능 피폭으로 인한 암 때문에 숨졌다"고 주장했다. 반핵운동연대측은 또 "원자력발전을 중단하면 발전소 해체 등 사후 처리비용이 건설비용보다 3~4배 더 필요한데도 원자력문화재단에서는 건설비용의 10~20%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주장한다"며 "원자력 에너지가 과연 `저렴한 에너지'인지 다시 검토하고 다른 청정 에너지원을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문화재단은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45명이라는 게 지난 99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발표한 공식 자료"라며 "1만5천명이 모두 방사능피폭 때문에 사망했다는 것은 억측"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지난 99년 사망해 방사선으로 인한 산업재해 판정을 받은 J씨의 경우도 8년동안의 방사선 피폭량이 1천853밀리렘에 불과해 IAEA 기준치인 연간 8천밀리렘에 크게 못미친다"며 "방사선 피폭으로 지금까지 12명의 원자력 관련기관 종사자가 숨졌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smile@yna.co.kr